공리주의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 책과 마주하다』


한 집단에서 어떤 것에 대해 의견을 묻게 되면 그 방향이 나뉘게 된다.

이는 개개인의 옳고 그름의 기준, 즉, 사고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_ 이 문장을 모르는 이는 없을 것이다.

이를 추구하는 사상이 바로 공리주의로, 공리주의는 공리성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여긴다.


도덕적 원리 혹은 도덕적 의무감을 원천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들도 인정하는 부분이 공리주의가 도덕의 제 1원리라 생각하는 것이다.

행복이 곧 어떤 행위에 있어서 가장 지배적인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공리주의의 핵심 주장인 행복이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직접적인 증거에 의해 증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밀은 단순히 인정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덧붙인다.


앞서 공리를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하였는데 이를 쾌락의 정반대라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면 안 된다.

"공리주의는 구체적 형태의 쾌락, 가령 아름다움, 장식, 오락 등을 무시하거나 거부하는 사상이다."

공리주의의 내용에 대해 잘 파악하지 못하고 단어만 알고 있는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이렇듯 제대로 된 공리주의의 의미가 왜곡되어 널리 알려진 탓에 결국 일부 사람들이 공리주의의 의미를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행위가 행복을 증진시켜주는 것이라면 그 증진의 정도에 비례하여 옳은 행동이 되며, 만약 불행을 증진시켜주는 것이라면 그 증진의 정도에 비례하여 그른 행동이 된다."

도덕이 밑바탕이 된 공리 혹은 최대 행복 원리를 기준으로 하는 공리주의가 주장하는 바는 이렇다.

행복은 의도된 쾌락이며 고통이 없는 상태로 반면에 불행은 쾌락 없음과 고통을 의미한다.


궁극적 목적은 개인이든 타인이든 목적 불문하고 가능한 한 고통에서 면제되고,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즐거운 일이 가득한 인생을 누리자는 것이다.

인간 행위의 목적이 되는 행복이 도덕의 기준이 되어야 하기에 행복은 인간 행위의 규칙이자 원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면에, 행복이 인생의 목적이 아니라는 반론자들도 있다.

행복은 획득하기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생과 인간 행위의 합리적 목표가 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공리주의 철학자들이 말하는 행복은 황홀함에 가득찬 삶이 아니다.

일시적인 고통과 다수의 쾌락으로 이루어진 인생에 있어서 긍정이 부정을 압도하는 어떤 순간, 삶에 있어서 인생이 제공할 수 있는 것 이상의 기대하지 않는 순간, 이런 순간들을 행복이라 지칭한다.

물론, 공리주의에도 한계점은 분명 존재한다.

공리주의는 다수결의 원리이기에 소수의 의견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쾌락과 고통을 선악의 원천으로 간주하고 있어 금욕주의자를 부정할 수도 있다.

옳고 그릇됨은 도덕적 판단이고 좋고 싫음은 사실적 판단인데 공리주의는 도덕적 판단과 사실적 판단을 혼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리주의는 개인의 의사를 무시할 수도 있다. 마지막 순간에 다다를 때 공익을 우선하는 공리주의이기에 개인의 의견이 배제될 수 있는 것이다.


요즘은 뉴스 볼 때면 '답답함'이 치밀어올라 『공리주의』를 읽다보니 자연스레 근래 사회·정치 이슈들이 맞물려진다.

공리주의를 볼 때면 사상의 의의부터 궁극적인 목적까지는 머릿속으로 다 이해했지만 분명 두드러지는 한계점은 존재한다.

우리의 삶에 있어서 어떠한 방해물 없이 행복과 자유가 주어진다면 더할 나위 없는 삶일 수도 있겠다.

허나 자세히 파헤치다보면 그 경계가 모호한 부분이 있기에 무턱대고 적용시키는 삶을 살 수는 없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