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를 권하는 사회 - 주눅 들지 않고 나를 지키면서 두려움 없이 타인을 생각하는 심리학 공부
모니크 드 케르마덱 지음, 김진주 옮김 / 생각의길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 당신은 혹시 고독한가요, 『혼자를 권하는 사회』

 

 

 

 

 

『하나, 책과 마주하다』

 

그런 책이 있다. 고개를 끄덕이면서 공감하게 만드는 제목을 가진 책.

혼자를 권하는 사회, 이 책이 딱 그런 책이여서 읽게 되었다.

우리가 살고있는 사회는 정말이지 '혼자를 권하는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유는 정말 다양하다.

본격적으로 정보화 세상에 접어들면서 모든 것이 180도로 변해버렸다. 끊임없이 디지털 기기들이 세상 밖으로 나와 모든 것은 기기로 해결이 가능하니 직접 대면하는 일이 사라지게 된다. 그렇게 만남 없는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경쟁을 부추기고 선동하는 사회로 변질되면서 공동체 안에서 완전히 지쳐버리니 '혼자'있고 싶게 되는 것이다.

 

사춘기에 접어들 때, 중요한 시험에 떨어졌을 때, 취업에 실패했을 때 사회 생활을 시작했을 때, 직장에서 트러블이 생겼을 때 우리는 대개 고독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이 고독이 자신의 감정선에서 지나치게 초과되었을 경우에는 되려 극도의 불안감과 우울함이 생기고 부정적인 생각까지 하게 된다.

고독의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세상에 홀로 떨어져 있는 듯이 매우 외롭고 쓸쓸한 상태를 말한다.

그렇다면 고독이란 감정이 과연 나쁜 것일까? 살면서 고독이란 감정을 누구나 한 번 이상은 겪게 되는데 그렇다면 고독은 운명적인 불행인 것일까?

예로서 로빈슨 크루소는 한 섬에 고립되었던 상태였다. 그렇다면 고독은 단순히 우리 마음에서 나오는 감정이 아닌 경험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독은 소외되고 잊혀진다는 것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고독의 진단을 이토록 어렵게 만든 데에는 극심한 사회 발전도 한몫했다.

첫째, 전통적 사회구조는 한순간에 사라졌다.

둘째, 개인, 세대, 남녀 간의 소통 수단과 그들 간의 교류 방식 및 본질도 바뀌었다.

셋째, 사회관계와 사회의 변화는 새로운 형태의 고독들, 보다 엄밀히 말해서는 새로운 고독들을 불러왔다.

 

결국 현대사회는 개인과 사회를 연결하던 기존의 모든 관계에는 개별성과 자주성을 부여하여 이를 무력화시키면서, 개인에게는 무리 안에서의 조화로운 소속과 분담을 성공모델이라고 주입시키는 역설 속으로 점점 파고들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인간은 갈수록 개인주의적으로 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고독을 완벽하게 없애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그러나 고독이란 감정을 점점 사라지게 하고싶다면 상처받지 않게 내 자신에게 집중하며 차근차근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진심으로 '경청해주는', '경청해주려는' 누군가가 있다면, 그 누군가가 가족이든, 친구이든, 연인이든 꼭 함께 하길 바란다.

그 누군가는 당신에게 득이 될테니깐.

 

나는 항상 이런 사람이 되려고 주의하고 노력하며 행동한다. 경청하고, 사람을 평등하게 대하고, 책임을 인정하고, 비난하지 않고, 현실에 집중하고, 거짓자아를 만들지 않는 사람이 되자고.

또한 세상을 살아가는 건 분명 나 혼자이지만 고립되지 않게 내가 원하는 삶의 방향을 명확히 하며 길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며 지금처럼 앞으로도 '(당신의) 말을 경청해주는' 하나가 되겠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