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토크]

“한 권의 책은 하나의 사건이다.”

이 말이 더없이 절실하게 다가오는 순간이 있다.

2024 우주리뷰상 최우수 수상작 김도형의 서평, 『전장연 시위라는 사건』이 바로 그러하다.

『책 하나의 사건』은 단순한 서평집이 아니다.

478편의 응모작 중 단 7편만을 엄선한 이 작품집은, 서평이라는 장르가 어떻게 사회를 진단하고, 독자의 사고를 전환시키며, 하나의 정치적 목소리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전장연 시위라는 사건』을 읽는다는 것

두 권의 책 『전사들의 노래』와 『출근길 지하철』을 관통하며, 서평자 김도형은 말한다.


“비장애인 중심의 경험만을 재현하던 인식의 균열을 가하는 일이며, 전장연의 지하철 행동을 장애운동 전반의 언어로 번역해내는 일이다.”

전장연의 시위는 단순히 교통을 불편하게 한 사건이 아니다.

그들은 “출근길 지하철을 멈춰 세우며 한국 사회에 질문을 던졌다.”

왜 지금까지 우리는 이들의 목소리를 ‘시혜의 대상’으로만 받아들여야 했는가?

서평은 이어 말한다.


“이들의 존재가 역사를 몰고 등장해 일상을 충격하는 그 장면 자체가 사건이다. 그러나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는 사회적으로 부재했다. 그래서 이 글이 필요했다.”

이 서평은 단지 두 권의 책을 요약하지 않는다.

독자의 관점을 전복시키는 일종의 사회적 언어 실험이자, 정치적 개입이다.


역사를 결여한 것처럼 보이는 존재들이 자신들이 투쟁해 왔던 역사를 몰고 출근길에 등장해 지하철을 멈춰 세운다는 점에서, 정책 하나만이 아니라 사회관계 전반의 변혁을 내포하는 주장을 들고나온다는 점에서, 단지 시혜의 대상이었던 존재들이 자신들 또한 권리를 위해 온몸을 던질 수 있는 숭고한 정치적 주체임을 보인다는 점에서, 전장연 시위는 분명 사건이다. 또한 이를 통해 소위 ‘평범’한 일상에 충격을 가했고 그 충격의 징후들은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었으나, 동시에 이것이 어떤 의미에서 사건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는 사회적으로 부재했다는 의미에서, 전장연 시위는 분명 사건이다.
⏤김도형, 「전장연 시위라는 사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권의 책은 하나의 사건이다

‘서평’이 단순한 책 소개를 넘어, 하나의 독립된 비평 장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까?

《서울리뷰오브북스》와 알라딘이 공동 주최하고 아모레퍼시픽재단이 후원한 2024 우주리뷰상은 그 가능성을 증명했다. 총 478편의 응모작 중 단 7편만이 선정되어 『책 하나의 사건』이라는 이름 아래 묶였다.

이 책은 단지 ‘수상작 모음집’이 아니다.
한 편의 서평이 어떻게 사회를 말하고, 시대를 비추고, 독자와 만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시도다.



🏆 심사평으로 읽는 수상작

김도형 「전장연 시위라는 사건」
“장애인을 시혜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동등한 인격체로 생각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이해하게 한다.” – 박진호(언어학자)


강우근 「일상적인 것은 어떻게 예술이 될까」
“책이 제안하는 사고의 방식에 동참하는 데 이른다.” – 현시원(큐레이터)


강진용 「쇠락하는 산업 수도, 그러나 버릴 수 없는 꿈」
“논리적 구성으로 도시를 바라보는 행위를 밀도 있게 논했다.” – 현시원


김회연 「사랑은 눈 감고: 고명재론」
“좋은 의미로 징그럽게 느껴질 만큼 능숙하다.” – 신형철(문학평론가)


오병현·유희선·조연재 「문화기술지가 사회비평 도서로 기획될 때 참고하게 될 영원한 레퍼런스」
“공감과 연민은 올바른 앎과 의지에 달려 있다.” – 정우현(생물학자)


이두은 「무위의 계보학」
“서평의 구조를 입체로 끌어올린 선택.” – 신형철


한선규 「울창한 이해와 느낌을 나란히」
“서정적이고 문학적인 방식으로 성찰을 전달한다.” – 정우현



📝 수상 소감

김도형
“이 글은 그저 기록의 의무였다. 지금도 계속되는 투쟁에 응답하고 싶었다.”


강우근
“겐페이의 시도를 통해 무용한 사물에 오래 머물고 싶어졌다.”


강진용
“책과 함께하는 모든 순간이 좋다. 그래서 썼다.”


김회연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쓴 편지 같은 글이다.”


오병현·유희선·조연재
“책 한 권이 세상을 바꾸진 못해도, 바꾸려는 사람이 많아지길 바란다.”


이두은
“읽기는 만남이고, 헤어짐이다. 서로를 바라보는 창을 서평에서 발견한다.”


한선규
“글을 쓰는 설렘이 기죽은 나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



『책 하나의 사건』은 왜 주목받아야 하는가?

단지 수상작을 모은 책이 아니라,
서평이라는 장르의 현재와 미래를 기록한 책이기 때문이다.

읽는 이에게는 책을 넘어 세계와 마주하는 시선을 제공하고,
쓰는 이에게는 ‘어떻게 읽고,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한다.

『책 하나의 사건』, 이 책 자체가 하나의 우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평은 더 이상 책 소개에 머물지 않습니다.
서평이 하나의 '사건'이 될 수 있다는 것, 바로 『책 하나의 사건: 2024 우주리뷰상 수상작품집』이 보여줍니다.

《서울리뷰오브북스》와 알라딘이 공동 주최하고, 아모레퍼시픽재단이 후원한 제1회 우주리뷰상.
총 325명의 응모자, 478편의 서평 중 단 7편이 엄선되어 수록된 이 책은
그 자체로 ‘비평의 진화’이자 ‘읽기와 쓰기의 정수’를 담은 작품집입니다.




🎖 수상작 엿보기

📌 김도형 – 「전장연 시위라는 사건」
『전사들의 노래』, 『출근길 지하철』
→ 장애운동을 단순 서사가 아닌 정치적 사건으로 분석.
“이 서평은 한국 사회의 납작한 이해를 뒤흔드는 정수다.” – 박진호(언어학자)



📌 강우근 – 「일상적인 것은 어떻게 예술이 될까」
『초예술 토머슨』
→ 무용한 사물과 예술의 경계를 허무는 미학적 통찰.
“책의 사고방식과 함께 사유하는 서평.” – 현시원(큐레이터)



📌 강진용 – 「쇠락하는 산업 수도, 그러나 버릴 수 없는 꿈」
『울산 디스토피아』
→ 울산이라는 산업 도시를 통해 한국 제조업의 미래를 논함.
“안정적인 논리와 구성으로 시대를 직시한다.” – 현시원



📌 김회연 – 「사랑은 눈 감고: 고명재론」
『너무 보고플 땐 눈이 온다』
→ 사랑과 애도의 시, 그 언어의 깊이를 탐색.
“능숙함의 정수, 기대되는 후속 활동.” – 신형철(문학평론가)



📌 오병현·유희선·조연재 – 「문화기술지가 사회비평 도서로 기획될 때 참고하게 될 영원한 레퍼런스」
『가난한 아이들은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 당사자의 목소리로 사회 구조를 분석.
“공감과 연민의 무게를 견딘 서평.” – 정우현(생물학자)



📌 이두은 – 「무위의 계보학」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
→ ‘하지 않음’이라는 무위의 개념을 철학적으로 재해석.
“평면적 글을 입체로 끌어올린 시도.” – 신형철



📌 한선규 – 「울창한 이해와 느낌을 나란히」
『자연에 이름 붙이기』
→ 자연을 분류하는 과학의 언어를 문학적 감수성으로 해석.
“서정성과 문학성이 빛나는 서평.” – 정우현





『책 하나의 사건』은 단순히 읽기 위한 책이 아니라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게 하는 렌즈입니다.
지금, 독서와 비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나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는 흙으로 만들어진 존재다 

고대 수메르인의 신앙에 따르면, 세상은 두 강 사이의 땅이고, 두 하늘 사이의 땅이기도 했다. 
위쪽 하늘에는 명령을 내리는 신들이 살고 있었다. 
아래쪽 하늘에는 일하는 신들이 살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마침내 아래쪽 하늘에서 살던 신들은 일이나 하면서 살아가기가 싫어서 우주 역사상 최초의 파업을 단행했다. 
공황 상태가 되어버렸다.
위쪽 하늘의 신들은 굶어 죽지 않으려고 진흙으로 남자와 여자를 만들어서 신들을 위해 일하게 했다. 
여자와 남자는 티그리스 강변과 유프라테스 강변에서 태어났다.
그것을 얘기해 주는 책 또한 그 진흙으로 만들어졌다.
그 책들에 쓰인 바에 따르면, 죽는다는 것은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거울들』(알렙, 2024), 34쪽

서점 바로가기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7209535
알라딘 http://aladin.kr/p/ORX7H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563283

#21세기최고의책 #알라딘 #에두아르도갈레아노 #갈레아노 #거울들 #알렙새책 #화제의책 #역사 #세계사 #라틴아메리카 #비판적지식인 #북스타그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쿠바의 국민적 영웅 호세 마르티의 황금시대국내 첫 번역

황금시대는 인간의 가장 고귀한 열망을 전달하며,

문학이 도덕적이고 시민적인 교육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소설가/노벨상 수상 작가)


황금시대는 어린이 문학이 얼마나 깊이 있고 교육적일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문학적 예술 작품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시다.

미겔 데 우나무노(철학자)


#책스타 #북스타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 ##독서 #독후감 #북리뷰 #책추천 #강추 #알렙 #호세마르티 #쿠바 #라틴아메리카 #아동문학 #쿠바독립영웅

 



알라딘 : http://aladin.kr/p/xqjaU

예스24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2736959

교보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1457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