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권보드래 지음 / 돌베개 / 2019년 3월
평점 :
전국 방방곡곡, 여러 해외 거점에서 그토록 오래 지속된 울림이, 단순히 일시에 뛰쳐나와 태극기를 흔든 평면적 사건이었을 리 없다.
구체제를 남김없이 애도하면서 도래하지 않은 유토피아를 꿈꾸고 아예 선포까지 해버린 이 무매개적 대중봉기는 세계사적, 보편주의적 맥락에서 다시 독해되어야 한다. 18, 9세기의 프랑스 혁명에서 파리 코뮌까지처럼, ‘있어야 할 세계‘를 둘러싼 20세기의 사상과 윤리가, 가장 순도 높게, 전 인류, 전 지구적 규모로 토론되었다는 차원에서...
권보드래 교수께서 귀한 작업을 해주셨다. 어느덧 우리도, 여러 분야에서 우리 자신에 대한 연구를 스스로 해나갈 수 있는 역량과 거리를 갖추기 시작했다고 판단한다. 이제 3단계를 함께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세계 각국 연구자들이 한국을 다양하게 연구하고, 한국 학자들과 경쟁하며 교류하는 단계이다(김두얼, ˝연구의 선진화˝, 매일경제신문, 2019. 6. 8. 자 http://m.mk.co.kr/news/opinion/2019/394933 참조). 이 책도 영어로 번역되면 좋겠다.
책이 워낙 훌륭하고 감동적이지만, 아래 첫 번째 인용 문단 마지막 문장과 관련하여 덧붙이고 싶은 것이 있다. 작년 5월 재정학회 월례세미나에서 명지대 경제학과 김두얼 교수께서 3·1 운동의 전국적 확산에 ‘철도‘가 크게 기여하였다는 통계 분석 연구를 발표하신 바 있다. 아직 논문으로 출간되지는 않은 듯하나, 식민지배와 경제적 이익을 위해 건설한 철도가, 저항의 토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2단계에서 3단계로 나아가면서는, 논리의 빈틈을 상상력과 유려한 글발만이 아니라, 할 수 있는 한에서 숫자로 채워보려는 노력과 분위기가 조금 늘어난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여전히 성리학자인 한국의 인문주의자들은, 통계는 기본적으로 조작이요, 거짓말이라는 내심 혹은 무의식적 저항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것 같다).
[시행착오는 곧 인민의 고통으로 귀결되는 정책결정에서라면 더더욱 그래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그 빈틈은 보통, 진영에 터 잡은 선명성이 채우곤 한다... 이도 결국은 성리학주의의 연장 아닐지... 진정성이라는 수사는 가려들어야 하고, 그것이 면죄부가 될 수도 없다. 모두가 똑같은 도둑놈에 사기꾼이라 여기는 항간의 시각에 비하면 묵묵히 최선 다하는 담백한 진국이 꽤나 많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대중에 정의의 사도로 알려진 분 중에도 재선 등 자신의 이해가 걸린 문제 앞에서는 언제라도 보이지 않게 누군가를 희생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분들을 숱하게 보았다. 대의를 위한 여우의 간계라 정당화하면서... 명분을 강하게 논거 삼을수록 그 명분을 위해 반대증거를 억압하고픈 유혹에도 쉽게 빠진다. 반대진영뿐 아니라 나도 이미지에 속고 있을 수 있고, 내 편이라 해서 무조건 믿을 수 있고 늘 선인 것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익숙함과 사이다에 중독되어 사고를 중지하는 일이 없도록, 우리는 스스로를 경계해야 한다.]
3·1 운동은 낮, 장터, 태극기로 표상되지만, 다른 한편 밤의 사건이요 산 위에서 만세 부른 사건이며 독립만세기를 휘날린 사건이다. 어디서는 3월 초로 끝났지만 어느 지역에서는 12월에야 시작된 사건이자, 누구에게는 성대한 평화시위로, 다른 이에게는 면사무소를 습격한 경험으로 남은 사건이기도 하다. 그만큼 3·1 운동의 얼굴은 여럿이다. 하긴 그토록 많은 이들이 3·1 운동에 뛰어들었으니. 식민권력의 통계로도 약 60만에서 100만이 참여했다고 할 정도다. 역시 식민권력의 인구통계 약 1,600만을 적용하면 전 인구의 3.7퍼센트에서 6.2퍼센트 정도가 된다. 이후의 어떤 사건도, 1960년의 4·19혁명이나 1987년의 6·10 민주화운동도 그만한 참여도에 이르지 못했다. 3·1 운동 때는 교통·통신이 미비했고 전국적 조직이나 지도체도 없었는데 말이다. - P11
19세기 후반 이래 역사를 지배해온 것이 개별-특수-보편, 나-가족-민족(국가)-인류라는 매개의 변증법이었다면, 3·1 운동은 그 안과 밖을 가로지른 사건이다. 3·1 운동의 그들은 민족(국가)과 탈민족(국가)을 동시에 꿈꾸었고, 대표-의회정치와 자치적 질서를 동시에 지향했으며, 역사-진보와 유토피아적 파국을 동시에 추구해 나갔다. - P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