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천주교 미담 1911-1957
김윤선 엮고 지음 / 소명출판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년 전 옛 글을 읽는 충실한 주석과 해설로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일본 교인들의 이야기가 많은 것이 아쉽지만 시대 상황을 보여주는 특징이고요. 다만 내용 감수를 더 꼼꼼히 받았으면 좋았겠습니다. 미담 31-32에 나오는 ‘요왕‘은 십자가의 성 요한이 아니고 ‘천주의 성 요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맨부커상 수상 뉴스에 휘둘려 황급히 책을 사서 읽은 독자의 일원이다. 책을 다 읽고 든 생각은 '서양 사람들은 이런 거 좋아하나?'였다. 그런데 책을 덮고 하루 이틀이 지날수록 찜찜한 여운이 짙어진다.

소설의 제목이 가리키는, 그래서 주인공이라고 여겨지는 영혜라는 여인은 연작소설 세 편 중 어디에서도 중심에 등장하지 않는다. 시종일관 화자(세 편의 화자가 다 다른 사람이다)에 의해 관찰된 모습으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롭다. 제1편 '채식주의자'에서 채식주의자의 독백이 간간이 등장하지만, 그것은 남에게 건네지는 대화가 아니라 독백일 뿐이다.

그러니까 책 속의 연작소설 3편은 포식의 잔인함을 거부하고 평온한 생존방식을 추구하려는 영혜를 주변인들이 저마다의 관점으로 바라본 보고서인 셈이다. 육식을 거부하고 사회생활의 문법을 거부하는 영혜와 그런 그녀를 감당해야 하는 주변인들의 갈등이 정유정 작품 못지않게 끔찍한 형상으로 묘사된다.

흥미로운 점은 몸이 상하고 사회생활이 무너지고 목숨이 오락가락하도록 맹렬하게 육식을 거부하는 영혜의 행보가 자신에 대한 폭력으로 귀결된다는 것. 자기 생존을 위해 다른 생명체를 피흘리게 한 죄를 자기의 피로 대속한다는 의미인지 몰라도, 식물처럼 평온한 삶을 추구할수록 포악해져 가는 영혜의 모습은 포식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인간의 아이러니한 운명을 보여준다. 그런 까닭에, 뒤표지에 인쇄된, 그 아이러니를 표현한 영혜의 독백을 나는 참 어리석다(순화하면 이렇고, 실은 병신스럽다)고 느꼈다. 아무도 해치지 않는 듯이 보이는 식물의 삶도 잘 들여다보면 숱한 미생물을 빨아먹으며 유지되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빚 권하는 사회, 빚 못 갚을 권리 - 왜 빌린 자의 의무만 있고 빌려준 자의 책임은 없는가
제윤경 지음 / 책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행은 개인의 빚을 안 갚아도 책임이 없는데, 빚에 대한 책임은 왜 개인에게만 부과되는가?˝라는 질문이 신선했다. 대출 부추기는 환경(복지 미비, 대출광고, 저임금), 추심 대응법 설명도 구체적이고 유익했다. 다만 `빚 안 갚아도 된다`는 마지막 워딩이 국민정서상 오해를 살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309동1201호(김민섭)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대학의 학자 착취구조에 대한 고발도 인상적이었지만,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저자가 깨닫고 정리한 사회생활의 태도와 스킬은 직장생활 10년이 넘은 내게도 새삼 깨달음을 주는 유익하고 중요한 내용이었다. 직장에서 일하고 사람을 대하는 마음가짐을 바로잡는 계기가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정 자본주의 - 자본은 감정을 어떻게 활용하는가
에바 일루즈 지음, 김정아 옮김 / 돌베개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의 직원들은 늘 긍정적이고 관계지향적이어야 하는가? 혹시 그것이 강요된 신념이라면? 노동자들이 자기계발이라는 명분으로 자본주의에 자발적으로 복종하기까지, 인간 감정과 심리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공을 세웠는지 알려주는 책. <긍정의 배신>, <단속사회>와 함께 읽으면 더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