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사회적 기업 만들기>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사회적 기업 만들기 - 무함마드 유누스의
무하마드 유누스 지음, 송준호 옮김 / 물푸레 / 2011년 2월
평점 :
보통의 기업처럼 이윤을 창출하지만 그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사회적 기업(Social Business)을 통해 가난을 지구 상에서 퇴치한다는 것이 이 책의 저자 무함마드 유누스 교수의 생각입니다. 사회적 기업이라는 명칭이 다소 낯설어보일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가난에 쪄들어 살고 있는 이 지구 상에서 사회적 기업을 통해 빈곤을 없앤다는 그의 목표는 왠지 박수라도 쳐야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가난과 빈곤을 몰아낸다는 것에 찬성하지 않을 사람은 아마 별로 없을 겁니다만 그러한 일은 대단한 갑부가 아니고서는 할 수 없으리라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할 겁니다. 그 선입견에 유누스 교수는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며, 평범한 사람들도 이 생각에 동참할 수 있다고 이 책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나서 누구나 사회적 기업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단돈 27달러로 시작된 그라민은행을 예시로 들고 있습니다. 그라민은행뿐 아니라 그가 예시로 들고 있는 여러 사회적 기업의 이야기를 읽고 있노라면, 이 사회적 기업이야말로 지구 상에서 빈곤을 몰아낼 해결책이란 착각을 하게 합니다. 수많은 나라와 정부에서도 못한 일을 일개의 기업에서 할 수 있다니! 이 얼마나 대단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하지만 저자인 유누스 교수는 사회적 기업의 좋은 면과 성공적인 면만을 말하고 있을 뿐 단점과 실패에 대해서는 입을 딱 다물고 있는데, 여기에 사실 커다란 문제가 있습니다.
이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여러 예시 중에서 바로 마이크로크레디트(혹은 마이크로파이낸스)야말로 유누스 교수가 주창하는 사회적 기업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이 책에선 이 기업에 대한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많지는 않지만, 이것으로 유누스 교수는 200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니 말이죠. 적은 양의 돈이 없어 쩔쩔 매던 자신의 고국 사람들에게 27달러를 빌려주면서 시작되었다는 그라민 은행과 그로부터 시작된 마이크로크레디트의 이야기는 정말 감동적인 이야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후 마이크로크레디트는 전세계적으로 퍼져 사회적 기업의 성공이라는 표징이 되었다고 저자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마이크로크레디트는 담보도 없고 고정적인 수입이 없어 고위험군이라 낙인이 찍힌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어 그들이 자생적으로 빈곤에서 탈출하게 한다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사실 우리 주변에서도 괜찮은 창업 아이디어가 있어도 초기 자본이 없다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는데, 이는 아무리 아이디어가 좋아도 자본이 없으면 아예 실현할 수가 없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돈이 돈을 부른다는 말처럼 자본금이 얼마냐에 따라 벌어들이는 돈이 달라지는게 사실이기도 합니다. 그런 까닭에 신용이 떨어져 일반 은행을 이용할 수 없었던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줌으로써 자력으로 가난에서 탈출하도록 한다는 이 사회적 기업은 초기에는 95%라는 엄청나게 높은 회수율을 기록했으며, 1990년도에는 여러 나라로 빠른 속도로 퍼지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열기는 2000년대 피크를 이루었는데, 유엔이 2005년을 국제 마이크로크레디트의 해라고 정했으며, 2006년에는 유누스 교수와 그라민 은행에게 노벨 평화상이 수상되기도 했습니다. 이 부분만 보면 뭐가 문제인지 도통 알 수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장하준 교수의 저서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에서 이러한 생각이 얼마나 철부지적인지 절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먼저 이 책에서는 마이크로크레디트를 저자인 무함마드 유누스 교수가 처음으로 창안한 것처럼 표현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그것은 아닙니다. 그전에도 이런 생각으로 만들어진 은행이 있었지만, 유누스 교수가 만든 그라민 은행처럼 인기를 끌지는 못했던 것이죠.
자, 본격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초반에는 전세계의 가난을 없앨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칭송을 받았던 마이크로파이낸스가 시간이 지나가면서 많은 비판에 휩싸였다는 이야기가 이 책에서는 쏘옥 빠졌습니다. 특히 초기 이 계획을 지지했던 조너선 모두크도 비판자 중 하나로 돌아서게 되었는데, 최근 그가 발표한 논문에서 "놀랍게도 마이크로파이낸스 운동이 시작된 지 30년이 지났지만 이로 인해 고객들의 생활이 수치상으로 개선되었다는 확고한 증거는 거의 없다."라고 밝혔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 문제도 없으며 가난의 해결책이라 여겨지는 이 소액대출 시스템이 뭐가 문제가 있다는 것일까요? 장하준 교수는 이 마이크로파이낸스의 문제점이 상당히 많아 모두 기록하기가 불가능할 정도라 말하고 있으며, <왜 마이크로파이낸스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가?>라는 책을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있습니다.
우선, 유누스 교수는 마이크로크레디트가 정부 보조금이나 원조가 없이도 충분히 흑자를 낼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모델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고 있는 낮은 이자율은 정부의 보조금과 해외 기관에서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하던 일일 뿐 사실 그러한 지원이 없어지자 유누스 교수가 열렬히 비판하던 여타 고리 대금업자의 수준의 이자율을 물려버리는 현실에 대해선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보조금을 받지 않던 마이크로크레디트 기업은 보통 40-50% 정도의 대출 이자를 물렸고, 멕시코에서는 무려 80-100%의 고금리를 부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거기다가 유누스 교수가 만든 그라민 은행 또한 보조금을 포기하자 2001년 40-50%의 이자를 가난한 사람들에게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가난한 사람들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여 자신의 사업을 차릴 수 있도록 한다는 마이크로크레디트의 목적이 변질되기 시작해버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 생산적인 일때문이 아니라 갑자기 돈이 필요하게 된다든가 등의 가정의 소비를 위해 돈을 빌리게 되어버리게 된 겁니다. 이건 너무나 당연한 결과인데, 어느 사업이 그라민 은행을 비롯한 마이크로크레디트 기업에서 부과하는 대출금을 갚을 수 있을 정도로 이윤을 낼 수 있겠습니까?
장하준 교수는 더 나아가 실제 기업가 정신을 가지고 빌린 자본금도 그들이 가난에서 탈출하도록 하는데 실패했다는 현실을 꼬집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동기도 가지고 있고 자신의 사업을 위한 기술고 있고 거기다가 그 사업을 할 자본금도 있는데 왜 실패가 발생했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록 그들 각 개인만을 살펴보면, 환경적으로 긍정적일지는 몰라도 수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큰 숲을 보게 되면, 결국 소수의 사람만이 성공하게 되는게 현실이라는 것이죠. 이러한 모습은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40-50대에 명예퇴직한 사람들이 퇴직금을 가지고 자신의 사업을 하기위해 여기저기 도전을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퇴직금을 날려버린 현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그들이 하게 된 사업이 치킨집이나 PC방 등 몇몇 사업에 몰려버렸기 때문입니다. 끊임없이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여 시도하면 이런 일은 발생하기 않겠지만, 회사에서 근무하던 직장인들이 시도할 만한 사업은 그리 많을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일이 유누스 교수가 창안했다는 사회적 기업의 환경에도 똑같이 벌어진 겁니다. 그들이 가난에서 탈출하겠다는 의지도 있고 어느 정도 기술이 있다하더라도, 그들이 시도할만한 사업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습니다. 거기다가 초반에는 일부 사람들이 성공적인 자영업가로 탄생되었다고 하더라도 수많은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보고 경쟁을 하다보니 결과론적으론 실패하게 되어버린 겁니다. 단순히 돈만 있다고 모든 사업에서 성공할 수 없다는 현실을 무시한 채, 가난한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줌으로써 그들이 빈곤에서 벗어난다는 생각은 정말로 순진무구한 생각이 아닐 수 없는 것이죠.
그뿐 아니라 유누스 교수가 주창하는 사회적 기업이라는 개념도 사실 너무나 이상적일뿐 현실적으로 구현되기가 쉽지 않은 것입니다. 자본주의에서의 기업은 자신의 이윤을 추구하는데 반해 사회적 기업은 이 이윤을 자신 기업가가 아닌 사회에 환원한다는 것을 내세운다는데 차이가 있다 밝히고 있습니다. 단순히 이론적으로나 개념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에서는 이것이 얼마나 순진한 생각인지 조금만 돌이켜보면 알 수가 있습니다. 기업이라는 건 어디까지나 독점이 아니라 수많은 다른 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것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 사회적 기업만 존재하고 다른 기업이 들어올 틈이 없다면, 즉, 정말 깽판을 치지 않는 한 망할 수가 없다면 모르겠지만, 훌륭한 기술력이 있는 기업도 한순간에 몰락할 수 있는 냉혹한 현실에서 사회적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의 이윤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는 그라민 은행이 보조금이 끊기자 다른 고리대금업체와 마찬가지의 이자율을 부과할 수밖에 없는 모습에서 잘 알 수 있습니다.
한 기업이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이유는 변화무쌍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입니다. 초과이윤이 오로지 기업의 대표나 회장의 재산으로, 즉 개인의 자산으로 넘어간다는 건 일부분의 모습만 보는 겁니다. 가령, 유누스 교수가 예로 든 그라민다농이 자립운영되기 위해서는 언제 적자가 날 지 모르는 상황을 대비하여 일정량의 이윤을 쌓아놓아야 합니다. 하루 버는 돈으로 하루를 간신히 살아가는 일은 한 기업에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사업을 확장하거나 개발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더더욱 이윤 극대화에 신경을 쏟아야 합니다. 유누스 교수가 지속적으로 언급하는대로 주변의 보조금이 없이 오로지 자립되기 위해서는 말이죠. 보조금이나 기부금으로 운영된다면 자선단체와 별반 차이가 없다는 그의 말처럼 한 사회적 기업이 보조금이나 기부금없이 일반 기업들과 경쟁을 하면서 이윤을 사회에 돌린다라는 건 정말 현실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 식견에서 나온 겁니다. 마치 가난한 사람에게 그라민 은행이 부과하는 40-50%의 이자율을 상환할 수 있는 사업을 하라고 독촉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유누스 교수가 놓치고 있는 또 다른 점은 인간 본성에 대한 생각입니다. 그는 자본주의가 인간을 오로지 이기적인 존재로 보는 데 결함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인간의 이타적인 면을 강조하는 그의 생각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점입니다. 인간에게는 이기적인 면과 이타적인 면이 동시에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론 이기적인 면이 더욱 구현되는 게 우리의 모습이니까 말입니다. 한평생을 봉사를 위해 사는 테레사 수녀님보다는 오로지 자기 뱃속을 채우기 위해 타인을 착취하는 기업가를 너무나 손쉽게 찾을 수 있는게 우리의 현실입니다. 만약 한 사람이 이타주의를 가지고 가난을 몰아내기 위해 사회적 기업을 세웠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기업이 잘 굴러갔을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겁니다만(물론 여타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봅시다) 적자가 발생하고 하양세로 돌아서게 되면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즉, 문을 닫아야 하는지 아니면 그토록 유누스 교수가 좋아한다는 원칙을 깨고 근로자의 임금을 내리거나 근로자를 해고시켜야하는지 결정해야 합니다. 거기다 돈을 벌지 못했으니 저신에게 저축액이 없다면 자신의 가정은 굶주려야 하거나 돈을 빌려야 할 겁니다. 처음에는 자신이 힘들고 못 먹어도 남을 위해 일한다는 봉사하다는 기쁨으로 버틸 수 있다하더라도 시간이 지나갈수록 버티기가 쉽지 않습니다. 자신도 먹고 가족도 먹고 아이들을 양육하려면 당연히 이윤 추구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잖습니까.
물론 일을 하지 않아도 먹고 살만한 재산이 있다면 봉사의 즐거움으로 사회적 기업을 꾸려나갈 수 있겠습니다만, 과연 이럴 정도로 재산이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유누스 교수는 자신이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기업의 폐해와 내면적인 면은 당연히 이야기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그게 아니라면 초기부터 마이크로크레디트를 지지해왔던 조너선 모두크의 비판을 한귀로 흘러버리고 자기합리화를 하고 있는 것인지 정말 사회적 기업의 아이디어로 가난을 몰아낼 수 있다고 순진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