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스 카는 이와 같은 반응미디어가 그들의 뇌를 바꾸고 생각을 증발시킨다고 주장했다. 물론 생각을 증발시켜버렸다는 그의 주장에 무조건 동의할 수는 없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방식에 변화가 오고 있음은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본 적 없는 미래의 세계에서 우리는 모두 ‘시간 속의 이주민’인 셈이다. 이제 청년이 스승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임신의 도구가 아니라 인생의 주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만 생각하면 좀 이상하다. 배 속의 아기는 그렇게나 걱정하는 사람들이 임신한 여성의 건강과 근무환경에는 어쩜 이리 무관심할까. 그저 난자와 정자가 결합한 세포덩어리인 배아에는 인격까지 부여해 그 생명의 소중함을 주장해대면서 진짜 인생이라는 걸 살아내고 있는 여성의 존재는 아주 쉽게 무시해버린 대한민국 법무부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의 무지는 어째서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지. 그들의 무례는 어찌나 당당한지. 왜 설명은 모두 내 몫이어야 하는지. 과거와 현재의 임산부들은 도대체 얼마나 수모를 겪어온 건지. 왜 달라지지 않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