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인 (양장) 소설Y
천선란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인 #천선란 #창비 #소설Y #소설Y클럽 #소설y클럽1기

어느 날 손가락 끝에서 새싹이 자라고, 식물들이 하는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했다. 이 문장을 보고도 이 책을 지나칠 사람이 과연 있을까? 손가락에서 새싹이 자라난다니, 식물들의 이야기가 들린다니! 식물의 힘을 사용하는 작은 영웅의 이야기라니! 어릴 적 누구나 영웅이 되는 것을 꿈꿔왔을 텐데, 그들의 힘의 원천은 초인적인 에너지였지 식물이 아니었다. 하지만 <나인>에서는 식물과 관련된 힘을 사용하는 주인공 ‘나인’이 등장한다. 손가락 끝에서 새싹이 자라고, 식물들의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한 이후 관심도 없던 학교 선배의 실종사건에 대한 단서를 찾아 나서게 되고 그로 인해 주변 환경이 급격히 어지러워지지만 담담하게 해결해나가는 ‘나인’과 나인의 친구 ‘미래’와 ‘현재’, 나인의 이모인 ‘지모’, 그리고 나인과 같은 해에 태어난 같은 누브족인 ‘도현’을 따라가다 보면 4D 영화를 관람한 것처럼 내가 그들 곁에서 함께 모든 일들을 경험한 것만 같다는 착각이 든다. 천선란 작가의 전작 <천 개의 파랑>은 동물과 사람 그리고 로봇이 서로 소통하고 교감하는 이야기였다면 <나인>은 식물과 사람이 소통하고 교감하며 발생하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식물에서 태어나 식물과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천 개의 파랑>보다 판타지 요소가 더 첨가되었는데, 많이 알려진 두 개의 양파에 좋은 말, 나쁜 말을 해서 성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보면 정말 식물들이 우리말을 알아듣고,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나인> 속 이야기가 실제로 있을법해서 더 흥미로웠다. 천선란 작가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언제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이 너무 바빠 시선 한 번 주지 못하는 존재와 관련된 상상력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천선란 작가의 신간이 기다려지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다음에는 또 어떤 존재와 깊게 교감할 수 있을까? 이번에는 작가의 시선이 어디에 가닿았나?’하는 궁금증 때문에. <나인>을 읽고 괜스레 식물들에게 시선을 한 번 더 주게 되었다. <나인>을 읽고 나면 길을 걷다 만나는 길가의 가로수가 나에게 “안녕? 어디 가니?”물어보더라도 놀라지 마시길. 당신도 ‘누브족’일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학동네 북클럽 티저북 이벤트에 당첨되어 최은영 작가님의 밝은 밤을 먼저 읽어볼 수 있는 행운을 누리게 되었다. 밝은 밤 티저북 도착 후 설레는 맘으로 조금씩 아껴가며 읽었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느낀 점은 '오늘은 할머니께 전화를 드려야겠다.'였다. 밝은 밤 속 할머니와 나의 관계성이 따스하고 찬란해 괜스레 눈물이 나왔다. 나와 할머니의 관계가 현실이 나와 할머니의 관계와 비슷해 더 마음이 가고 자연스럽게 나를 대입하여 책 속 세계로 빠져들게 되었다. 어린 시절 나에게 제일 좋아하는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을 때 항상 할머니라고 외쳤었다. 시골에 가는 날이면 아침잠이 많은 내가 벌떡 일어나 씻고 준비를 할 정도였다. 할머니댁에 가는 동안 여러 노래를 부르며 설레는 마음을 숨기지 못하기도 했다. 할머니는 우리가 오는 날엔 민물새우를 사다가 찌개를 끓여주시고, 갈치를 사다가 구워주시기도 했다. 식사 후 다들 휴식을 취할 때 조용히 나를 불러다가 옷장 속에 숨겨두었던 알사탕이나 젤리, 시장에 갔다가 손녀가 생각나 사둔 양말과 잠옷 등을 몰래 주셨는데 나는 그 시간이 할머니와 나만의 비밀을 만드는 소중한 순간으로 남아있다. 이렇게 할머니와 친했는데, 아빠가 돌아가신 후 자연스럽게 왕래가 줄어들며 1년이 흐르고, 5년이 흐르고 어느덧 17년이 흘러 할머니 소식을 들을 수 없게 되었다. 가끔 할머니가 생각나는 날에는 익숙한 할머니댁 번호를 눌러볼까 하다가도 긴 시간의 공백이 주는 어색함을 견디지 못할 것 같아 실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밝은 밤을 보며 나와 할머니가 만나는 그 순간이 그래서 더 아프게 다가왔는지 모르겠다. 우리 할머니도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아직도 옷장에 다 커버린 손녀를 위한 전해주지 못할 선물을 하나, 둘 모아두고 계실까, 항상 무릎이 아프다고 하셨는데 요즘은 괜찮으실까...밝은밥에서 내가 용기를 내어 할머니에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며 알 수 없는 용기가 생겼다. 오늘은 꼭 할머니께 전화를 걸어 그동안 못다 나눈 이야기를 나누어야겠다. 소중한 책을 만난 덕분에 소중한 인연을 다시 이어가게 되어 감사하다.

할머니는 마치 다 알고 있었다는 듯이 나를 보고 미소 지었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