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인 (양장) 소설Y
천선란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인 #천선란 #창비 #소설Y #소설Y클럽 #소설y클럽1기

어느 날 손가락 끝에서 새싹이 자라고, 식물들이 하는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했다. 이 문장을 보고도 이 책을 지나칠 사람이 과연 있을까? 손가락에서 새싹이 자라난다니, 식물들의 이야기가 들린다니! 식물의 힘을 사용하는 작은 영웅의 이야기라니! 어릴 적 누구나 영웅이 되는 것을 꿈꿔왔을 텐데, 그들의 힘의 원천은 초인적인 에너지였지 식물이 아니었다. 하지만 <나인>에서는 식물과 관련된 힘을 사용하는 주인공 ‘나인’이 등장한다. 손가락 끝에서 새싹이 자라고, 식물들의 이야기가 들리기 시작한 이후 관심도 없던 학교 선배의 실종사건에 대한 단서를 찾아 나서게 되고 그로 인해 주변 환경이 급격히 어지러워지지만 담담하게 해결해나가는 ‘나인’과 나인의 친구 ‘미래’와 ‘현재’, 나인의 이모인 ‘지모’, 그리고 나인과 같은 해에 태어난 같은 누브족인 ‘도현’을 따라가다 보면 4D 영화를 관람한 것처럼 내가 그들 곁에서 함께 모든 일들을 경험한 것만 같다는 착각이 든다. 천선란 작가의 전작 <천 개의 파랑>은 동물과 사람 그리고 로봇이 서로 소통하고 교감하는 이야기였다면 <나인>은 식물과 사람이 소통하고 교감하며 발생하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식물에서 태어나 식물과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천 개의 파랑>보다 판타지 요소가 더 첨가되었는데, 많이 알려진 두 개의 양파에 좋은 말, 나쁜 말을 해서 성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보면 정말 식물들이 우리말을 알아듣고,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나인> 속 이야기가 실제로 있을법해서 더 흥미로웠다. 천선란 작가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언제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이 너무 바빠 시선 한 번 주지 못하는 존재와 관련된 상상력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천선란 작가의 신간이 기다려지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다음에는 또 어떤 존재와 깊게 교감할 수 있을까? 이번에는 작가의 시선이 어디에 가닿았나?’하는 궁금증 때문에. <나인>을 읽고 괜스레 식물들에게 시선을 한 번 더 주게 되었다. <나인>을 읽고 나면 길을 걷다 만나는 길가의 가로수가 나에게 “안녕? 어디 가니?”물어보더라도 놀라지 마시길. 당신도 ‘누브족’일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