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씩스틴 평화징검돌 8
권윤덕 지음 / 평화를품은책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 마을에서 소소하게 자라온 탓에 사회적인 일에 무관심했던 나였다. 어른이 되면 자연스레 뉴스를 즐겨보고 사회에 관심을 갖게 되는 거라고 생각하며 학창시절을 보냈다. 대학생이 되어서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다 2003년 봄이었던가? 학교 내에 있었던 사건으로 친구들과 피켓 시위를 했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정치란, 역사란 나와 무관한 삶이 아니란 것을. 이후 동아리 활동을 하며 근현대사를 알게 되고, 내가 겪는 현재의 삶은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온 삶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광주에서 온 친구와 이야기를 하며 내가 알지 못했던 역사가 누군가에게는 엄청난 고통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며 근현대사에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책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 16살 청소년의 이야기인가 싶었다. 책을 받아들고 M16과 하얀 동그라미가 그려진 총을 보고 순간, 숨이 멈칫했다. 계엄군의 총 M16. M16의 눈으로 그려진 1980년 광주의 광장이 눈앞에 펼쳐졌다.

표지를 열었을 때 보이는 얼룩덜룩한 군복의 무늬가 나타났다. 왠지 모르게 군복 모양을 보는 것만으로도 심장이 쿵쾅거렸다. 요즘 내가 만나는 군인은 그렇지 않은데, 어릴 때 만났던 군인의 삼엄한 눈빛이 떠올랐다. 삼엄함을 넘어 공포감을 자아내던 그 눈빛이 나에게 달라붙는 느낌이 들어 그것만으로도 긴장이 되었다.

M16은 계엄군의 총이었다. 광주에 투입되기 전, 폭도와 빨갱이들의 무자비함과 그들을 처단해야 한다는 교육을 철저히 받았다. 교육받은 대로 폭도와 빨갱이들을 처단했고, 그들을 돕는 자들까지도 공격했다. 그러나 민주주의 만세를 외치는 그들의 삶이 광장에 널브러지며 M16은 느끼게 된다. 크림빵을 든 딸, 트럭에 실려 간 친구, 장사 나온 우리 엄마, 회사에 간 신랑을 찾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가 만난 사람이 폭도나 빨갱이가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혼란에 빠진다. 그리고 시민을 향해 서게 된다. 시민을 지키기 위해.

 

결혼을 하고 신랑이 이야기를 했다.

우리 아빠가 광주에 투입됐던 부대 나왔어. 그런데 다행히도 2월인가 3월에 전역하셨대.”

몇 해 전, 촛불집회가 열릴 때 집회에 나온 사람과 대치하고 있는 군인들이 보였다. 20대 초반의 젊은 청년은 방어막을 들고, 죽창을 들고 서 있었다. 그리고 그 앞에 마주한 20대 초반의 또 다른 청년은 일렬로 선 군인들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반갑게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차마 할 수 없어 멀어져 가는 시선으로 맥없이 서있는 모습이 느껴졌다. 그들의 선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상명하복의 문화가 지배하는 군인이라는 조직에서 자신의 신념과 뜻을 달리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가? 불법을 날카롭게 공격하던 대치된 상황, 그러나 불법은 어디에서 명명되었으며, 누가 규정한 것이었던가? 혼란 속에서 갈피를 잃은 시선은 허망했다.

만약 그 날, 아버님께서 광주에 계셨더라면, 나는 지금 아버님을 원망했을까? 상상하기 싫은 생각을 하다가 머리를 가로저었다.

그 날, 민주주의를 논한다는 이유로 희생되었던 많은 분들의 억울함을 조금이라도 풀어드리기 위해, 같은 역사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 우리는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하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가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업나눔 - 함께 배우고 서로 나누는 교직생활의 전환점
터닝포인트 지음 / 에듀니티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에게 수업 나눔이란 공개 수업과 이후의 협의회였다.

그래서 수업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두려웠다.

배움의 공동체를 접했을 때,

 

마지막으로 했던 공개 수업이 떠올랐다.

많은 분들이 와 계신 가운데 자신의 일에 열중하던 아이들.

잠을 자고, 만화책을 읽고, 멍 때리고, 옆 친구와 이야기하고.

 

최근 했던 공개 수업도 떠올랐다.

평소와 달리 대답을 너무나 잘 하고, 적극적인 아이들.

잠을 자지 않고, 무엇이든 하려고 했으며 끊임없이 눈을 마주치는.

 

공개 수업을 한다는 것, 수업을 나눈다는 것이 진정성 있게 다가서는 일일까?

혼란스러웠다.

 

수업을 나눈다는 것은 꼭 공개수업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인지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

내 수업이 어떠한지를 알게 하는 것 또한 수업 나눔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혼자서는 어렵고 함께 할 때 더욱 빛을 발한다는 것.

그래서 자신을 객관화 하는 것, 나의 수업을 객관화 하는 것이 아닐까?

 

그렇기에 촘촘하게, 엉성하게 얼기설기 엮어 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고민하고 있는 지점을 과감히 이야기할 수 있고,

주어진 상황을 함께 둘러보는 일.

그래서 교실 삶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수업이 확장될 수 있음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아한 잔소리 - 우리 반 아이들을 위한 한 해 잔소리
홍은채 지음 / 에듀니티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해 5년 만의 휴직 끝에 복직을 하면서 두려웠다.

고등학교에서 주로 입시 지도만 하다가 중학교로 발령이 나서 어떤 모습으로 교단에 서야할 지 고민했다.

복직자 연수를 받으며 비폭력대화,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강의를 듣고,

에듀니티를 통해 PDC를 접했다.

 

아이들을 한 인격체로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머리로 알고 가슴으로 실천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가?

때때로 나를 돌아봐야 하고, 나의 감정을 점검해야 하는 일이었다.

어쩌면 명상과도 같은 과정이었다.

어떠한 상황에서 감정을 느끼되 그것에 함몰되지 않고 그대로 바라보는 것

명상이 자신의 감정을 짚어보는 것이라면

PDC의 이론은 단순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감정상태를 짚어보는 것이었다.

 

우아한 잔소리는 아들러의 이론을 통해 긍정심리학의 실천적 부분이다. 

누가 그랬어? 하는 추궁보다 왜 그랬을까?에 초점을 맞추어

원인을 살피고, 자신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게 하는 것.

존중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행동의 변화

이를 실천하고 기록한 책이다.

 

원인과 결과 이를 수정할 행동이 논리성을 갖지 못하는 훈육이 갖는 문제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보게 한다.

지난 해 성적인 언어와 관련해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하며 제대로 하는 것이 맞는가 생각했었는데,

어쩌면 아이들이 성적인 것에 특히나 집착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지않았던 것이 성적인 언어가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교사 혼자가 아니라 아이들이 같이 고민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힘.

학생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방법을 찾아가 보게 하는 것.

어쩌면 우리가 나아가야할 교육의 방향을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