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과 겉 ㅣ 알베르 카뮈 전집 6
알베르 까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로제 키요에 따르면, 『안과 겉』 재판에 붙일 서문은 적어도 1954년에 완성되었다고 한다. 적은 부수의 초판을 절판시킨 뒤 20년 가까이 잠들어 있던 글을 다시 읽고 펴내는 과정에서, 원숙기에 접어든 작가는 초심을 되새긴다. 더 일찍 재판하지 않은 이유는 카뮈에게도 ‘내글구려병’이 있었기 때문이다. 놀랍지 않은가? 그러한 자기 성찰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세계가 계속해서 팽창하고 발전한 것이리라. 아무튼 이 서문이 정말 좋다. 서문을 거쳐 함께 실린 글을 순서대로 읽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면, 그 특별함을 느낄 수 있다.
빛과 어둠, ‘안과 겉’을 품은 글의 구성은 이야기에서 사유로 발전한다. 에세이들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것은 어떤 낯선 체험으로부터, 자신이 살아있음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낯설다는 것은 세계와 대면하는 것을 가리킨다. 모든 가면을 벗어던지는 여행에서, 혹은 고독에서 ‘우리는 완전히 우리 자신의 표면 위로 노출’된다. 일상적인 ‘이미지 하나하나가 제각기 하나의 상징’이 되고, 모든 산물에 민감해져 ‘명철한’ 도취감, 모순된 도취감을 느낀다. 이러한 체험은 스스로에게서 멀리 떨어지게 하고, 스스로에게 가까이 접근시켜준다.
당연히 두려움이 피어오른다. 그러한 체험은 절망이기도 하고 행복이기도 하다. 눈짓을 까닥하기만 해도 세계의 균형이 깨어져 무너져버릴 것 같은 불안전함, 그러한 단순함의 세계 속에서 스스로가 보잘 것 없이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단순함이야말로 깊은 감동을 준다. 죽음에 대한 의문 앞에 대답을 얻는다. 그렇다. 삶을 그쳐야 할 이유가 없다. 카뮈는 절망에서 삶에 대한 사랑을 찾는다. 그는 태양 아래에서 두려움을 떨쳐낸다. 어두운 절망과 아름다운 풍경들이 대치하는 과정에서 위대함을 발견하는 것이다.
삶은 언제나 죽음을 내포하고 있지만 죽음이 두렵다고 삶에 대한 사랑을 잃어서는 안 된다. 카뮈는 모순에서 나오는 괴로움과 절망도 삶의 일부분이니 받아들여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가면을 벗어던지는 해방이 가져다 줄 감동, 진실의 순간을 마주할 용기를 지녀야 한다고 말이다. 그러려면 명철한 의식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다시 서문으로 돌아와, 카뮈는 말한다. 오랜 시간이 흐르고 더한 절망도 겪었지만 삶에 대한 사랑과 의욕은 전혀 꺾이지 않았다고. 그 서투른 글에 배인 열정은 아름답고 그만큼 감동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