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의 경제학 강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반양장)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생활을 돌이켜 보면, 누군가 수학을 왜 배워야 하는지만 알려 줬어도 그렇게 많은 수포자들이 생기지는 않았을거란 생각이 든다. <장하준의 경제학강의>는 바로 우리가 경제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는 데서 시작하여,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경제학 입문에 초대한다.

그에 따르면, 경제학은 과학이 아니다. 세상에 허다하게 많은 경제학자들이 모두 사회과학의 왕이 경제학이라며 우쭐대는 판에 이런 선언은 그들에게 참으로 괘씸하게 들릴 터이다. 그럼, 물리학이나 화학처럼 경제학도과학이라고 믿는 신념은 어디서 생긴 것일까? 경제학이 물리학이나 화학 같은 의미의 과학이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분자나 물체와 달리 인간은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어떤 문제에 정답이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고, 검증이 곤란하며, 실험도 불가능하고, 어떤 방법도 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경제학자들은 경제학이 인생의 모든 것에 관한 궁극적 질문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주장한다지만, 이건 웃기는 얘기다. 경제학은 경제도 다 다루지 못한다.

<장하준의 경제학강의>는 우선 쉽다. 경제원론 책들에 등장하는 복잡한 수식이나 그래프 같은 것들도 없다. 이제와서 생각해 보면, 경제원론에 등장하는 그 많은 수식과 그래프는 정말 별 것 아닌 것이다. 수많은 가정 그것도 대부분 어이없는 사실에 기초한 가정 을 세우고 비현실적인 공식을 만들어서 계산을 해보이는 일종의 지적 에 가깝다.

그러나, 이 책은 지난 300여 년 동안 자본주의 하에서 진행된 경제학의 역사, 노동과 금융 등의 개별 이슈에 대한 설명을 쉽고 재미있게 펼쳐나간다. <국부론>이 출간된 시대의 자본주의와 현대의 자본주의는 닮은 점이 거의 없다. 자본주의는 지난 2세기 반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기업들의 규모가 커지면서 노동자들도 달라졌고, 시장도 달라졌으며, 돈과 금융 시스템 또한 엄청나게 달라졌다. 마르크스학파는 자본주의는 경제 발달의 막강한 동력이지만, 사유 재산이 더 이상의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면서 저절로 무너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마르크스학파가 예견한 것보다 훨씬 자기 수정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명됐다.

경제를 측정하는 방법도 완벽하지 않은데 절대적인 것으로 오해 받는 방법론이다. 예를 들어, 경제학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생산량 측정법은 국내총생산, GDP이다. GDP는 생산량의 합이지만, 소득의 합으로도 볼 수 있다. 임금, 이윤, 대출 이자, 간접세 등의 합을 국내총소득, GDI라고 부른다. 국민총소득, GNI는 그 나라 시민권자의 소득을 모두 합한 결과이다. 그러나, 그 합이 정확한 지는 차치하고라도, 비화폐 경제와 암시장의 존재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환경파괴와 인적자원 양성 같은 중대한 요소를 종종 거꾸로 장부에 반영하는 등의 치명적 약점이 있다.

저자에 따르면 한 마디로 경제학은 정치적 논쟁이다. 과학이 아니고, 앞으로도 과학이 될 수 없다. “망치를 쥔 사람은 모든 것을 못으로 본다.”라는 말이 있다. 따라서 경제학적 논쟁을 대할 때 다음과 같은 오래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누가 이득을 보는가?” 앞으로 경제학이 가치 판단을 배제한 과학적 분석을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는 절대 믿어서는 안 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