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속의 영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사유 속의 영화 - 영화 이론 선집 ㅣ 현대의 지성 136
이윤영 엮음.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영화만큼 짧은 역사를 갖고, 엄청난 파급력과 논란거리를 제공하는 매체가 또 있을까 싶다. 그 태생이 어떻든 영화는 이제 만인의 오락거리로 자리 잡은지 (나름) 오래다. 그 시간에 비한다면 가히 폭발적인 영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대중성으로 인해서 수많은 사람들의 일상에 자리잡은 대표적인 매체임과 동시에 예술적 담론에서 그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받아들여야 하는 '영화'.
이미 '영화를 좋아한다'는 말은 '음악 감상', '독서'등과 같이 하나의 보편적인 여가생활의 한 방편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으레 대중들이 선택하는 영화는 어느정도 한계에 머무른다. 아니 어쩌면, 그 한계가 대중이 소화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경계이기 때문에 더 깊게 들어갈 필요조차 없을지도 모른다. 대부분(나 또한) 영화의 시놉시스와 감독, 배우, 스케일에 따라서 영화를 선택한다. 그것이 비단 나쁘거나 부적절한 것인가, 라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할 수 없다. 일반 관객들이 영화에 대해서 판단하는 기준은 (솔직히) 그게 전부니깐 말이다.
그 어떤 예술양식보다도 대중에게 쉽게 다가온, '영화'라는 매체는 이렇듯 가장 쉬운 가십거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반면에 '연구'로써의 쉽지 않은 담론거리를 제공한다. 이 책에 실린 15편의 논문들이 그러하다.
초기 고전영화사에서, 몽타주 기법을 펼쳐낸, <전함 포템킨>의 감독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의 논문으로 시작한다.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로 시작된 이것은, 몽타주 기법에 대한 에이젠슈타인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이야기로 시작된다. 한자로 대표언급된 표의문자와 일본의 하이쿠 등을 통한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에 관한 담론은 영화기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다. 아무것도 모르고 '의무로써' 한번 봤던 영화의 감독이 펼쳐놓는 철학은, 그 일본의 여러 문화에 대한 접점으로 인해 꽤 관심이 가는 시작이었다.
이 후에, 14편의 논문에서는 감독 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의 인문학자들이, 각자가 생각하는, 주장하는 영화에 대한 갖가지 이야깃거리를 펼쳐놓는다. 영화에 대한 기계적 분석을 통한 관객, 배우를 조망함과 동시에 회화와 사진과 연결되고 대립되는 영화의 속성에 대해 고유의 주장을 펼친다. 지금에서야 그 불법성으로 영화사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자리잡고 있는 '복제'에 관한 담론또한 꽤 오래전에 다뤄졌음을 알게되고(물론 그 문제의식이 지금과 같지 않고, 예술로서의 가치판단의 근거지만) 이제는식상한 담론처럼도 느껴지는 '영화가 예술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깊이있는 근거와 사유거리를 제시한다.
영화사의 거의 초창기 인물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학자들의 논문이 묶여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 이 책은 공통된 주제를 제시하는것이 아닌, 마치 릴레이식으로 연결된 듯한 (편집의 영향이겠지만) 인상을 준다. (사실 주제적으로 아주 약간 중첩되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거의 다른 주제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초기에는 영화의 존재론적 주제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가다가, 관객이 받아들이는 방식, 감독과 카메라, 그리고 배우의 (기계적인 의미가 아닌)위치와 역할을 나눠본다. 무엇보다 동시에, 전반적으로 영화 메커니즘의 해체와 이해를 통한 예술양식으로서의 고민과 그 역할, 그리고 영향을 분석해본다.
마치 쉽게 읽은 것처럼 쉽게 써내려 갔지만, 꽤 쉽지가 않은 논문들이다. 사실 도저히 본인의 깜냥으로는 다 받아들일 수 없는 구문들(꽤 많은)부분들은 이해의 끈을 놓고선 포기하고 휙 읽어내려 갔음을 고백한다. 1/3은 거의 속독과 통독의 버무림 수준으로 읽었고, 뒷부분에 이르러서는 거의 넘기다 시피한 부분이 없잖아 있다. 그래서 내가 이책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에 대해서 솔직한 자신이 없다. 적당히 없는것이 아니라 꽤 없다. 혹, 영화를 좀 봤다고, 혹은 본다고 자부하는 현대의 사람들이 그 '영화사랑'을 믿고선 섣불리 달라들었다간 고전을 면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영화 용어에 대해서 좀 안다고 해서, 고전영화들을 좀 봤다고 해서, 간단히 이해될 이야기들은 아니란 것이다.
영화의 대중화 만큼, 소위 '전문가에 준하는 비전문가'를 표방하는 이들이 많다. 확실히 그들중엔 평론가 못지않게 날카로운 영화분석과 비평을 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공부하는' 영화이다. 영화사가들 만큼은 아니더라도, 학문으로써의 영화를 대하는 이들에게 적합하리라 보여진다.
앞서 누누이 언급한 '영화 좀 보는' 사람들 보다는 (상대적으로) 영화평론가를 지망하거나, 그에 준하는 영화이론 공부를 희망하는 이들, 석/학사 학위로써의 영화이론과 비평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좋은 지침이 될만한 책이다. 그저 가벼운 오락거리로써가 아닌, 하나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심도있게 들여다볼 준비, 또는 의지가 있는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마음이다. 그런 이들에게는, 수십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들이나 영화 외적의 많은 요소들을 차용해서 영화를 해석한 이들의 고민들이 충분히 많은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끝으로, 본인의 부족한 능력이 이 책의 가치를 폄하하진 않았기를 바란다. 무지한 나에게 이해가 될듯 말듯 한 이, 15명의 논문들이 영화를 심도있게 공부하려는 이들에겐, 더 높은 단계로 상승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고지가 되리라 생각하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