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대중문화 분야의 주목할만한 신간 도서를 보내주세요

 그래. <결국, 음악> 왜인지 읽지 않아도 공감할 수 있지 않은가? 아무것도 배우지 않아도 누구라도 받아들일 수 있는것.. 그것이 결국 음악이다. 대중음악평론가가 풀어줄 80년대부터 현재의 걸그룹 홍수에 이르기까지의 음악사적 이야기들은 벌써부터 군침이 돌 정도다. 물론 음악이야 말로 누구라도 쉽게 접하고, 그만큼 익숙해진 것만큼 개인의 성향을 무시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어느 한 분야에 충실히 몸담고, 보통의 우리들보다 수많은 음악을 만나고, 생각하는 지은이를 어찌 간과할 수 있겠는가. 나도원 작가가 풀어주는 제대로 된, 한국 근대 음악사에 관한 담론들을 만나고 싶다.,

  

 우리가 실제로 미디어아트와 만나는 일은 흔하지 않다. 하지만 미디어아트가 상업적으로 변화된 대중문화들은 꽤 접할 수 있다. 캔버스 위의 추상 (혹은 순수) 예술들이, 진보한 (혹은 그 형식을 파괴하여) 기계안으로 들어온 것 같은 인상을 주는 미디어 아트들은, 우리가 그 영향을 인지하던 그렇지 않던, 삶의 사유를 확장시켜주기에는 충분할 것이다. 시대를 초월한 재료도 필요하지만, 그 시대가 필요로 하는 재료를 사용함은, 곧 그 시대를 이야기하기에 안성맞춤이기도 할 테니깐 말이다. 철학자가 쓴 미디어아트 비평문이라 하니, 기대와 걱정이 앞서지만, 미디어아트를 통해 철학을 논하고, 거의 모든 예술에 관심을 갖는 필자의 노력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하니 아무래도 기대가 더 큰 바다.

  

영화는 상대적으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예술장르임에도, 가장 파급력있는 매체이기도 하다. 물론 그것은, 철저히 상업성이 고려된 여가생활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란것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예술로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영화는 가히 가장 영향력있는 매체로 명실상부하게 떠올랐으며, 영화를 만드는 입장이 되고자 하는 이들은 자연히 그것을 예술의 한 형태로 받아들이며 시작한다. 그러니 어쩌면 영화는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사유의 한 통로가 되기도 해야하는게 맞지 않을까. 그리고 그것은, 그렇게 사유했던 이들을 이렇게 만나는 것으로 시작되어도 좋을 것이다.

 

    

 죽기전에 해야할 일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 모르겠다. 죽기전에 해야할 것도 산더미 같은데 봐야할 영화도 산더미 같은가보다. 하지만 그래서 조금은 가이드가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영화를 보는 것보다 중요한것은 무슨 영화를 보느냐가 아닐까. 우리가 매일같이 쏟아지는 수많은 책들속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책을 찾는 일이 필요하듯이 말이다. 가이드에 깔리지 않을정도라면 이런책이 함께해도 좋을 것이다. 실제로 서양의 영화들은 고전이든 현대든, 명작들은 널리 알려진 반면에 한국의 숨은 명작들은 여러 이유들로 인해 외면받은 작품들이 많으니깐 말이다.

 

 시대가 변할수록 표현의 한계는 그 선을 높여 가고 있다. 혹은, 그 선이 높았다는 것을 시대가 변할수록 드러내준다. 모두의 DSLR 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카메라는 이제 많은 이들에게 보편적이 되었다. 모든 핸드폰에는 이제 카메라가 들어가지 않는 제품이 '없다'고 해도 될 정도다. 하지만 우리에게 찍을 권리가 주어지는 동시에 우리는 찍힐 위험까지 수반하며 살아간다.  예술과 포르노그라피는 사진이전에도 항상 존재했지만, 초상권과 저작권의 문제는 사진과 카메라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런 일련의 문제들은 우리와 절대 무관하지 않다. 그리고 그 논쟁은 사진뿐만이 아니라 사진가에 대한 자질과 도덕적 의무에 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거나, 혹은 알고있지 않아는데 의외로 문제가 되었던 여러 사진들이 담겨있는 이 책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