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1. 국경시장 - 김성중

 

 

 

 

 

 

 

 

 

 

 

 

 

매년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수상집을 아껴 읽는데, 거의 매년 이 작가의 이름을 보았던 것 같다. 김성중.

 

군복무 시절 한여름 내무반에서 선풍기 바람쐬며 그녀의 첫번째 단편소설집인 <개그맨>을 읽었던 추억이 떠오른다. 단편소설집에 실린 <개그맨>이란 작품에서 화자가 개그맨인 상대방 남성의 외모를 묘사하는 대목이 참 기발하고 재밌게 읽혔던 기억도 난다.

 

참신하고 톡톡튀는 문장들도 있는가 하면, <허공의 아이들>에서는 온 세상이 뿌리뽑혀 공중으로 부양하는 몽환적인 디스토피아를 보여주는 초월적 상상력도 지닌 작가다. 한마디로 스펙트럼이 넓은 작가.

 

이 작가가 두번째 소설집을 냈다하니, 벌써부터 기대된다.

 

 

2. 두번의 자화상 - 전성태

 

 

 

 

 

 

 

 

 

 

 

 

 

이상문학상에 실린 그의 단편 <소풍>을 읽으면서, 삶의 균열지점을 어쩜 이렇게 담백하게, 소박하게 그려낼까 감탄하며 읽었었던 기억이 있다. 단문 위주의 짧고 간결한 문장들이지만, 깊이는 결코 얕지 않다. 중견작가의 무게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열 두편의 단편들에서 보여질 작가의 모습이 궁금하다.

 

 

3. 엄청멍충한 - 한승재

 

 

 

 

 

 

 

 

 

 

 

 

도대체 왜? 이 소설이 읽고 싶을까? 고르면서도 의아하다. 보통 내가 소설 주목 신간을 고르는 기준은 일단 '내가 알고 있는 신뢰깊은 작가의 신간' > 내가 (이름만) 알고 있는 작가의 신간 > 화제적, 문제적 소설(보통 이 단계까지 내려온 적은 없었다. 기껏해야 다섯권이니까...) 순이었는데 '엄청멍충한'이란 제목에서 걸렸다.(편집자님이 좋아할만한 멘트일듯ㅎㅎ)

 

갤럭시 S6가 최근 화제다. 스마트폰을 위시한 현대세계의 키워드는 단연 '스마트', 똑똑함이다. 기계만 똑똑해야되는 게 아니다. 인간도 똑똑한 것을 강요받는다. 청년들은 취업난속에서 점점 '스펙 괴물'이 되어간다. 이른바 '스마트함의 인플레이션'속에서 '멍충함'을 이야기 하는 건 일종의 블루오션일 수 있다.

 

난 요즘 '멍충한 것', '느린 것', '오래된 것', '사라지는 것'에 끌린다. 이상하게도.

 

“수시로 머릿속에 밀려드는 기묘한 이야기들을 감당할 수 없어 배설하듯 글을 썼다”는 작가의 말이 재밌다. 명망있는 신인 건축가가 사비를 탈탈털어 발간한 책을 '열린책들'이라는 중견 출판사에서 발굴해 재출간한다는 배경도 소설만큼이나 재밌다. 부디 소설도 배경만큼 재밌기를ㅎㅎ

 

 

4. 형사의 아이 - 미야베 미유키

 

 

 

 

 

 

 

 

 

 

 

장르소설을 꺼리는 순수문학파인 내가 유일하게 안꺼리는 스릴러소설 작가 미야베 미유키. 그녀의 작품 <화차>를 읽었을 때, 장르소설에대한 일종의 편견이 깨졌다. 수사경력 30년의 베테랑 형사가 작가가 된다면 아마 이렇게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은 치밀하다.

 

한 문장 한 문장 장인의 숨결이 느껴진다고나 해야 될까. 단단하고 치밀한 일본식의 추리소설. 게다가 책소개를


"13세 중학교 1학년 야키사와 준. 부모님의 이혼으로 형사인 아버지 미치오와 도쿄의 서민 동네 시타마치로 이사했다. 기품 있고 바지런한 가정부 하나의 살뜰한 내조와 형사가 꿈이라는 학교 친구 신고 덕분에 새로운 동네에 익숙해질 무렵, 흉흉한 소문이 돌기 시작한다. 동네 어느 집에서 살인이 벌어졌다, 라는. 마침 그때 시타마치의 강에서 토막 시체의 일부가 발견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게다가 준의 집으로 범인의 정체를 고발하는 익명의 편지 한 통이 날아드는데…"

 

이런식으로 하시면, 끝이 너무 궁금해지잖아요!

 

 

5. 55세부터 헬로라이프

 

 

 

 

 

 

   

 

 

 

 

 

최근 <절망의 나라의 행복한 젊은이들>이란 책과 함께 일본의 '사토리 세대'란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장기 침체에 빠진 일본의 문제는 하루 이틀이 아니다. 최근 조선일보가 일본의 사토리 세대와 묶어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을 '달관세대'로 묶는 특집기사를 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오포 세대'란 말도 있다. 사회적 양극화와 가계소득의 감소에 따른 전반적인 내수 불황. 젊은이들은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내집마련'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젊은이들은 최악의 상황에서 최대한 차악을 선택하는 일종의 '정신승리'를 하게되는데, 이것을 '달관세대'라는 안이한 말로 진단을 내리는 것은 사회현상을 정확히 진단내려야할 언론인의 본분을 망각한 것이다.

 

이런 상황속에서 지금 필요한 것은 '젊은이의 달관이 아니라, 기득권층의 소유에대한 달관'이라는 한 젊은이의 말이 죽비처럼 등짝을 내리친다.(한국일보, '[2030 세상보기] 너부터 달관하세요'기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