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정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예술의 정신
로버트 헨리 지음, 이종인 옮김 / 즐거운상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예술, 그 중에서도 그림을 그리는 학생이나,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아마추어에게 권하는 로버트 헨리의 강의록이라 정의할 수 있을 듯하다.  

로버트 헨리는 필라델피아 여자디자인학교에서 강의를 했던 선생이었다. 하지만 이 선생은 그림을 하나의 상품이 아니라 예술가, 곧 화가의 삶이 오롯이 담긴 하나의 세계관이라고 하였다. 아마 그는 그림이 세계관이라고 학생들에게 가르쳤던 얼마되지 않은 순수한 예술가였던가보다. 그가 말하는 예술의 정신이란 바로 처음 그림을 그릴 때 느꼈던 그 희열을 화가인 지금에 와서도 느껴야한다고 설파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개 무슨무슨 회화전에서 입상을 하는 걸 큰 기쁨으로 알고, 명예로 치부하는 예술가들이 많다. 하지만 상이라는 것 자체가 심사위원이라는 주관적 객체가 있고, 상을 수여하는 기관, 곧 상급의 욕망이 내재되어 있다고 했을 때, 상을 받았다는 게 그리 좋은 것만도 아닌 듯 싶다. 

저자도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그가 출품했던 그림이 입선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도, 그래서 입선하지 못한 화가들끼리 8인의 기획전이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한 것이 여우가 포도를 먹지 못해, 신포도라고 치부해버리는 자기합리화일 수도 있지만, 그보다 저자의 말에 주의가 끌리는 것은 그가 내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고독한 예술가, 인간관계에서는 0점이 되더라도 그의 작품, 그의 그림에서만은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가르침 때문일 것이다.  

기실, 예술가, 그것도 한 시대를 역행한 수많은 예술가들은 고독했고, 이단아였으며, 입선의 영광도 없었다. 잭슨 폴록은 열광적인 찬사를 받기는 했지만 그의 곁에서 묵묵히 그의 병을 인내하고 그의 광기를 인내한 아내는 결국 그를 떠나고 말았으며, 마네는 외설적인 그림을 그렸다하여 당시 예술계에서 몹쓸 소리도 들어야 했고, 고흐 역시 고갱의 등을 보아야 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모두 다 예술가의 눈이 있다. 그걸 저자는 seeing 라고 했다. 따라서 열심히 농사를 짓는 농민도, 물고기를 잡으며 환희를 느끼는 어민도 모두 다 예술가일 수 있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건 지리하지 않다. 매순간 순간순간마다 희열의 감각과 황홀을 우리에게 건네주고 있다. 이를 간파할 수 있는 자가 예술가이다. 그리고 이러한 seeing 을 갖추기 위해 기존의 관념, 내 온 몸을 휘감고 있는 관습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꾸준한 연습, 그리고 고독 속에서의 관조, 이것이 예술가가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지 않나 싶다. 그럼 한 번 도전해볼까? 예술가되기! 프로젝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