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투명인간
성석제 지음 / 창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만수라는 인물을 관통하는 한국 근현대사를 보여준다. 이 책은 만수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에서 드러낸 만수의 이야기이다. 만수라는 인물이 어떤 사람인지 알기 위해서는 그 자신이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남이 그를 다층적으로 서술하는 것도 필요하다. 책의 처음 부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제외하면 보여주기 방식을 택하고 있다. 소설은 만수라는 인물의 어깨에 책 속 인물들의 삶이 얹어지는 과정과 결과를 보여준다. 

이 소설은 공백이 자주 나온다. 문단과 문단 사이 공백이 자주 나오면 내용도 자주 나뉜다는 뜻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문단들은 만수와 관련된 서술들이라 공백으로 나뉘어도 내용이 하나로 모아진다. 공백이 나오고 새로운 서술이 시작될 때마다 만수나 등장인물들에게 중요한 사건이 벌어진다. 인물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건들이 압축적으로 제시되는 형식이라, 쉽게 읽히는 한편 흡입력 있는 소설이 되었다. 주변인물들의 생각과 행동이 만수의 행동과 어떻게 맞물리는지 보여주기에 설명하지 않아도 만수라는 인물에 관한 이해도는 높아진다.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면서 겪을 수 있는 여러가지 불행한 사건들이 만수가족이라는 무형적인 마당에 펼쳐진다. 일제시대 독립운동을 하다가 재산을 모두 말아먹은 만수 할아버지는 살던 지역을 떠나 산골마을로 숨어든다. 수제로 마을에서 칭송받고 집안의 소를 팔아 한국에서 가장 좋은 대학에 입학한 뒤 새로운 문물을 만나서 방황하던 백수는 학비를 벌려고 베트남 파병가서 고엽제때문에 죽는다. 집안의 기둥을 잃은 만수가족은 어느날 유신 법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교육을 시키는 것을 보고 분노한 할아버지에 의해 집안의 모든 것들을 팔아 서울로 상경한다. 서울에서 금희는 가족의 삶을 지탱하고 만수의 둘째누나는 연탄가스로 평생 불구로 산다. 금희의 결혼 이후 만수가 가족을 먹여살린다. 만수 동생 석수는 만수의 도움을 받아 대학에 가지만 억지로 군대에 가고 어느 순간 가족으로부터 자취를 감춘다. 만수의 동생 애인이 남긴 아들 태석이는 만수에게 떠넘겨진다. 만수는 공부하고 노력끝에 회사에 취직한다. 만수는 회사와 직원들을 지키려고 노력하지만 그 노력의 댓가는 수억의 빚이었다. 옥희는 자신을 강간한 운동권 남자와 결혼하지만 소련의 해체 이후 목표를 잃고 도박에 빠진 남편과 연을 끊는다. 태석이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한다.

이 책은 한국 근현대사를 여러 인물의 삶으로 그려냈다. 만수가 삶을 살아낼 수 있던 원동력은 그가 살면서 만난 많은 사람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대하며, 정직하게 살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그의 모든 행동에 책임을 지려고 했다. 그런 노력에도 만수는 투명인간이 되고 만다. 


책을 읽으며 투명인간이라는 비유가 너무 직접적이라 생각했다. 제목은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이므로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서술적으로 ‘투명인간’을 나타내고 있을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투명인간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어서 인물의 삶이 억지로 투명인간이라는 개념에 접목되고 있는 듯해보였다. 투명인간이라는 개념은 초반과 후반에만 나왔다. 그의 인생 내내 투명인간이 아니었다. 작가가 현대시대만 투명인간이 새로이 생겨났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던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책은 만수가 투명인간이 될 수 밖에 없는 삶을 말한다. 이 소설에서 말하는 투명인간이라는 개념을 억지로 접목시키지 않아도 이미 만수의 삶은 투명인간인데, 이 텍스트가 특수성을 갖기 위해 투명인간이라는 개념을 이어붙였는지도 모른다. 

 내가 요즘 세대에 투명인간이라는 서술이 비유어가 아닌 고유어처럼 쓰이고 있어서 그런 것인지 비유의 신선함은 느끼지 못했다. 나는 사실상 지금을 투명인간처럼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름이 남겨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레임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이름이 남겨지지 않아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다짐하는 건, 아직 곳곳에 남아있는 무한경쟁 체제를 거부하는 공동체가 남아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건강한 사회를 꿈꾸는 공동체가 살아남지 않았으면 나는 진즉 도태되고 말았을 것이다. 만수는 가족을 그 공동체라고 생각하고 버티고 살아남았지만 투명인간이 되었다. 책은 사회 현실을 마주보고 바꾸려 하지 않고 개인만 성실하게 살려고 노력했기 때문인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제시한다.

책이 가진 의문에 대한 답은 제시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작가는 소설의 첫 문장을 쓰기 시작한 이후 소설이 위안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다. 나는 작가의 말을 소설이 답을 제시할 수 없는 문제를 던지는 장르라고 여긴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 책을 통해서 좋은 문제를 던졌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감동헀다. 관념적이지 않고 문제를 직접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소설 장르를 잘 활용했다고 여겼다.

책을 읽으면서 간절히 생각했던 것은.. 그에게 벌어지는 모든 일을 자신의 일인양 책임지며 살아가려고 한 만수도 행복할 수 있는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