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미래]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일의 미래 - 10년 후, 나는 어디서 누구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린다 그래튼 지음, 조성숙 옮김 / 생각연구소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예전에 본 코미디 드라마의 한 장면이다. 주인공이 중대한 결정을 앞두고 있으며 이 결정에 따라 그의 이후 운명은 바뀌게 된다. 고민을 거듭한 주인공이 드디어 결정을 한 이후 그의 인생 경로가 드라마로 그려진다. 그런데 이 드라마가 다 끝난 이후 다시 주인공의 결정 장면으로 되돌아가 그가 다른 결정을 하였을 경우 또 다른 인생 경로가 드라마를 보여준다. 결정과 그에 따른 운명의 분기처럼 저자는 가까운 장래 (2025년 경) 일의 세계에서도 유사한 일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소위 3분이 한계인 세상이다 (그만큼 주의 지속시간 attention spans 이 짧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노동의 파편화가 극단적으로 진전되고 노동하는 사람은 서로 고립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소외가 지배적인 세상이다. 그곳에서는 내공을 쌓기 위한 집중의 기회가 결여되며, 관찰 및 학습의 능력이 부족하고, 즐거운 창의성이 사라져 버린 세상이다. 이런 세상에서는 빈곤과 불평등이 세상을 휩쓸어도 사람들은 그에 대해 무감각해진다.
반면 두 번째 시나리오는 훨씬 긍정적이다. 이 새로운 세계에서 사람들은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서도 세상을 위해 자신의 재능을 아낌없이 공유한다. 이 곳에서는 경쟁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개인들이 성장한다. 개인들은 높은 연봉보다도 의미 있는 활동을 중시 여긴다.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며 따라서 자신의 삶에 대해 통찰을 가질 기회가 많아진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상이한 세계로의 분기가 동일한 요인에 의해 가능하다는 점이다. 바로 기술과 세계화이다. 컴퓨터 클라우딩 기술의 발전과 밤낮없이 이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은 세상을 (서로 고립되고 분절된) 네오 노마드의 세계로 만들기도 하고 혹은 (전체의 발전이 개인의 발전을 가져오는) 협력자들의 세계를 가져오기도 한다. 요컨대 기술 발전과 세계화는 대안적 세계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중립적 수단이라는 것이다.
별로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읽은 책이었으나 장을 더해갈수록 저자가 들려주는 생생한 미래 세계에 대한 묘사에 빠져 들고 있다는 느낌을 가졌다. 미래 예측과 관련한 비슷한 종류의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으나 이 책이 갖는 고유한 매력이라는게 아무래도 있는 듯 했다.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묘사뿐 아니다. 미래 세계에 대한 확정적 상이 아니라 가능한 ‘복수’의 비전을 보여주는 것 역시 이 책의 매력 가운데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주장하고 싶은 바는 저자가 분석에서 아주 중요한 변수 하나를 간과하였다는 점이다. 어떤 세계로 분기할 것인가를 두고 단순히 우연이 그것을 결정한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경로 의존성 개념이 이러한 사고를 잘 반영한다. 초기의 미세한 조건의 차이가 누적될수록 완전히 상이한 세계로 진행한다는 아이디어이다. 그러나 필자는 우연이 아니라 어떤 의도가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는데 더욱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며 그것은 바로 자본의 의도나 계획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20세기 초의 테일러주의의 경험을 들 먹일 필요조차 없다. 결국 우리의 노동세계를 규정하고 그 의도대로 이끄는 것은 자본이 아니었던가. 자본은 자기의 필요에 따라 첫 번째 세계를 선택할 수도 있고 두 번째 세계도 선택할 수 있다. 이 자명한 진실, 자본의 미래 전략이 노동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점을 저자는 잊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여 아쉬운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