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복제기계의 기본 개념은 진화론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탄생했다. 찰스 다윈이 역사에 길이 남을 명저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을 발표한 직후에 영국의 작가 새뮤얼 버틀러Samuel Butler는 <기계 속의 다윈Darwin Among the Machines>이라는 기사를 썼다. 그는 이 기사에서 "미래의 기계는 자신을 복제하여 다윈의 진화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견했다.(275/75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일한 일을 반복하면 그와 관련된 뉴런이 강화되고,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뉴런이 단단하게 결합하여 숙련도가 높아진다. 이 현상을 ‘헤브의 규칙Hebb’s rule’이라 한다.(268/750p)

-알라딘 eBook <인류의 미래>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턴은 하늘의 섭리를 역학법칙으로 설명함으로써, 자연과 수학의 친밀한 관계를 최초로 규명한 물리학자가 되었다(이 분야의 선구자는 갈릴레오였다. 그러나 갈릴레오의 이론은 뉴턴이 고안한 역학체계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_옮긴이). 그는 자신이 창안한 미적분학을 이용하여 태양계에 존재하는 모든 행성과 위성, 그리고 혜성의 운동(궤적과 속도)을 정확하게 계산했으며, 혜성이 일정한 타원궤도를 따라 주기적으로 출현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242/750p)

-알라딘 eBook <인류의 미래>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턴의 중력법칙을 이용하면 모행성의 조력이 위성의 자체중력보다 커지는 거리(위성이 조력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하는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값을 ‘로슈한계Roche limit’라 한다.(232/750p)

-알라딘 eBook <인류의 미래>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대가스행성의 조력潮力은 위성의 운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힘이다. 그러므로 위성의 특성을 파악하려면 조력의 세기와 작용방식부터 알아야 한다.(230/750p)

-알라딘 eBook <인류의 미래> (미치오 카쿠 지음, 박병철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