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
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 사상에 대해 이제 조금 알 것 같습니다. 책 깔끔해서 읽기 좋아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
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학창시절 왜 배우는지 진짜 잘 모르겠던 것이 물리와 윤리였다. 그중 오늘은 윤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한다.
윤리 시간을 배웠던 것 중에 머리를 싸매던 것이 여러 철학자들의 사상이었다.
도대체 이름 조차 못외우겠는 그들의 사상들,
뭘 말하는건지 알다가도 모를 그들의 명언들.
왜 그런 것들을 외워서 (차라리 주관식이 나을 것 같은) 말도 안되는 말바꾸기 객관식 문제에서 답을 찾아내야 했는지.
하지만 살면 살수록 그때 왜 학교에서 그런 것들을 배워야 했었는지 점점 깨닫는 중이다.

내인생의 앞이 탁탁 까맣게 안보이는 것 같을때,
도대체 내가 이런 선택의 기로에서 어떤 길을 가야하는지 모를때,
그럴때 지나간 그들의 명언, 그들의 사상이 나의 지금을 도와주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듯하다.
그때, 윤리 선생님이 좀만 적극적으로 왜 너희들이 이런 철학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라는 해봤자 소용없는 과거에 한탄을 하면서 오늘은 니체에 관한 책을 리뷰해 보려고 한다.

니체 니체 니체 많이 들어만 보고 알려고 하지 않았던 철학자.
그들이 살던 시대와 그들이 사는 세상은 나와는 완전히 다르지만, 희한하게도 철학자들이 이야기 해 주는 이야기들을 내 상황에 자꾸 맞추어 새겨듣게 된다.
니체 또한 한없이 낯선사람이었는데, 책을 리뷰하기 위해 살펴보면서 그가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조금 알 것 같았다.

니체에 관한 책은 세상에 수도 없이 많다.
그 책들은 표지도 다르고, 저자도 다르고, 목차도 달랐지만.. 결국 하고자 하는 니체가 전한 이야기는 하나로 연결되고 있었다.

그는 낡은 도덕, 기존 가치, 종교적 믿음, 사회적 규범 같은 걸 정답으로 믿고 따르고 있는 현실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그것이 진짜 우리가 선택해서 맹목적으로 따르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사회적으로 강요받아서 그렇게 살고 있는 것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그렇다고 니체가 모든 기존의 것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 중에서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가져갈 것인지 선택하여 사회의 틀을 깨고,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서 성장하길 권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알라"라고 했는데, 니체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너 자신이 되어라"라고 말하고 있다.

리프레시 출판사의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이라는 책은 이러한 니체의 사상을 깔끔하게 알려준다.
이 책에서는 니체의 사상을 크게 세가지 키워드로 나누어 주기 때문에 책을 읽기 전에 일단 어느 정도 개념을 잡을 수 있었다.

총 3개의 챕터로 이루어지는 이 책은,
새로운 시선으로 삶을 바꾸는 통찰 / 새로운 삶을 창조하는 변혁 / 더 강한 나를 만들기 위한 재정립 이렇게 나뉜다.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버려야 할 가치를 찾는 통찰의 과정을 거쳐, 버텨야할 것들을 골라내어 삶의 중심을 지키기 위한 변혁을 실행하고, 그렇게 결국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내고 지키기 위한 재정립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책읽기가 훨씬 수월했다.

또한 중간중간 어려워질라치면 실천적 조언으로 내용이 정리되고 있다. 사실 이런 책은 읽다보면 어질어질해지며 머릿속이 엉킬 때가 있는데, 그럴때마다 현실에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기 때문에 책을 읽고 난후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인 실천이란 것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았던 것 같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니체에 관한 책을 찾아보면 정말 수도 없이 많다.
그중 자신에게 맞는 책을 한 권 골라보라.
그리고, 소설처럼 한숨에 읽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그의 생각을 공감하면서, 때론 비판하면서 읽어보길 권한다.
그러고 나면 다음 또다른 철학자의 이야기가 궁금해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번 읽으면 절대 잊을 수 없는 글쓰기 교과서
쓰지 다카무네 지음, 박기옥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 이라는 키워드로 글쓰기 3단계를
완성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번 읽으면 절대 잊을 수 없는 글쓰기 교과서
쓰지 다카무네 지음, 박기옥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즘 나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챗gpt다. 챗gpt랑 대화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정말 어떻게 그렇게 천연덕스럽게 대화를 하는지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이 종종 들기도 한다. 그리고 챗gpt를 통해 결과를 받아본 사람들은 아마 잘 알테지만, 내가 어떻게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서 대답이 질과 방식이 완전히 갈린다. 그래서 앞으로 필요한 인재는 챗gpt를 잘 활용하는 사람, 즉, 질문을 잘하는 사람 이라는 이야기를 듣곤 한다.

이 책도 그것과 연결이 되는듯해서 매우 반가웠다. 제목은 <한 번 읽으면 절대 잊을 수 없는 글쓰기 교과서> 이다. 글쓰기에 대한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들은 시중에 정말 많기 때문에 사실 이 책도 뭐 그런 뻔한 이야기를 하는 책 중 하나일테지 라고 예상했다. 그나마 일본 번역 책이라서 아주 깔끔하게 요점을 설명해 주겠구나 하는 기대는 있었다. (보통 일본 저자들이 시간관리라던가, 메모 기법 등 요런 것들에 대한 설명이 아주 깔끔해서 신뢰가 있는 편이다 ㅋ)

그런데, 이 책은 위에서 언급한대로 질문을 잘하는 사람과 연결이 된다. 이 책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는 질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거의 모든 페이지에 <질문>이라는 단어가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질문을 잘 만들고, 그 질문에 잘 대답하면 장땡이다! 라는 것이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글쓰기 비법이다.

총 다섯 개의 챕터로 나뉘는데, 첫번째 챕터에서 좋은 글을 쓰기 위한 3단계 법칙을 알려주는데, 그것부터가 <큰 질문을 만든다 / 큰 질문을 작은 질문으로 분해한다 / 작은 질문에 답한다> 이렇게 딱 3단계이다. 그리고 나머지 챕터에서는 큰 질문 만드는 법 / 작은 질문 만드는 법 / 그 작은 질문에 대답하는 법 / 그것을 결국 문장으로 가져오는 법 이렇게 아주 체계적이며 일관적으로 내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결국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질문 인 것이다.

어떠한 글쓰기 주제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글쓰기 주제에 대해 큰 질문 하나를 던져본 후, 그 큰 질문을 조금 쪼개어 세부적으로 작은 질문들을 던져본다. 작은 질문들 하나하나에 나의 생각을 답변으로 달아본다. 그렇게 된 나의 답변들이 연결되면서 하나의 글쓰기가 완성된다.

오, 정말 기적의 논리 아닌가? 장난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논리적으로 이렇게 하다보면 한 편의 글이 완성되는 건 순식간일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이 방법을 통해 연습하다 보면 어떠한 주제가 걸리건 간에 충분히 자신의 생각을 담은 한 편의 글쓰기가 가능해질 것이다.

주변에 글쓰기를 잘하게 이끌어 주고 싶은 자녀가 있다면, 먼저 이 책을 읽어서 저자가 말하는 글쓰기 3단계 법칙을 잘 익힌 후에 아이들이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주면 너무 좋을 것 같다.

나는 이 책을 처음 접했는데, 책의 뒷날개를 본 후 <한 번 읽으면 절대 잊을 수 없는 교과서 시리즈>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글쓰기 교과서 이외에도 수학, 철학, 영문법, 영단어, 지리, 화학, 물리가 시리즈로 있던데.. 전부 다양한 일본 저자의 책이다. 상당히 궁금해지기 때문에 도서관에서 <한 번 읽으면 절대 잊을 수 없는 영단어 교과서>부터 빌려보도록 해야겠다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레바퀴 아래서 - 짓눌린 영혼에게 길은 남아있는가
헤르만 헤세 지음, 랭브릿지 옮김 / 리프레시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헤르만 헤세 같이 이름만 들어도 아는 작가들의 책은 읽기도 전에 겁부터 난다.
읽고나서도 내가 책을 읽으면서 느껴진 것이 맞는지 틀린지 정답을 찾게 된다.
전래동화 마냥 수많은 출판사에서 책이 나오다 보니 제목은 매우 익숙하다.
읽지 않으면 독서가로서 자격이 미달되어 보이는 느낌도 든다.
그래서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는 세계대표문학들에 대한 도전은 늘 나에게 숙제 같다.

몇 년 전 읽었던 <데미안>을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에 도전하게 되었다.
다 읽고 나니, 내가 생각했던 내용과는 완전히 달랐다. 글쎄, 내가 생각했던 것이 어떤 거라고 명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마치 <데미안>처럼 뭔소리인지 모를, 저 주인공은 왜 저렇게 행동하는 건가, 작가는 뭘 얘기하고 싶었던 것일까 하염없이 추상적으로만 생각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 같다.

그런데, <수레바퀴 아래서>는 어떤 내용인지 아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고, 심지어 지금의 현실과도 많이 맞닿아 있어서 읽었을때 각자 느껴지는 것이 아주 많을 내용이다.

노래를 들었을때, 내 상황에 따라 그 노래의 가사가 시시때때 다르게 다가오듯이..
<수레바퀴 아래서>는 자신이 현재 어떤 상황인지에 따라서 그 내용이 완전히 다르게 와닿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지금 수능을 위해 수험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잘 가던 길에 실패하고 주저앉아 일어나기가 힘든 사람이라면,
오해로 인해 친구와의 관계가 깨져버린 사람이라면,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을 찾기가 힘든 사람이라면 등등
이세상 수많은 자신의 사례 속에서 이 책 내용의 주제도 다르게 적용될 것 같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 책이 아이를 키울때 생각해야하는 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또 다시 정신차리게 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왜 내 자식에 그렇게 감정을 이입하는가.
나랑 내 아이는 같은 자아가 아니다.
내가 하라고 했는데, 아이가 싫다고 안한다고 해서 그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나와 내 자식을 완전하게 분리해야 한다.
나는 내 아이가 세상에 나아갈 수 있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뿐이다.
그 아이에게 있는 것을 내가 놓치고 지나가는 일이 없도록.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존중하고, 받아들여야함을 다시 한 번 경건하게 다짐해본다.

고전독서에 대한 로망이 있기 때문에
읽다가 포기하기 싫어서 <예고독서>라는 것을 해봤다.
그래서 책 한 권을 9일로 나누어서 하루에 약 30페이지씩 읽어보았다.
매일 딱 그만큼만 읽으면 된다는 것에 부담이 좀 덜했던 것 같다.
딱 그만큼 읽고 멈출 수 있을 만큼 재미가 크지도 않았다ㅋ
하지만 딱 그만큼만 읽고 멈추다보니, 그 내용에 대해 생각해보고 넘어갈 시간이 충분했던 건 참 좋았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