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아이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우리 동네 아이들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29
나지브 마흐푸즈 지음, 배혜경 옮김 / 민음사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동네 아이들은 알레고리 소설이다. 작품해설에는 이 소설이 성서뿐만 아니라 코란에서도 이야기를 차용하고 있다라고 밝힌다. 코란까지는 모르겠지만, 1권의 아드함과 자발, 리파아의 이야기가 하느님과 아담, 에덴동산, 카인과 아벨, 모세, 그리고 예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이 너무도 분명하게 눈에 보인다. 그렇다면 나지브 마흐푸즈는 소설과 성서, 그리고 코란을 잇는 이 이야기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사막 한 복판에 아름다운 정원이 딸린 대저택을 소유한 자발라위에게는 네 아들이 있다. 그중 흑인 노예에게서 얻은 막내 아들 아드함에게 자발라위가 재산관리를 맡기면서 대저택의 불화가 시작된다. 맏아들인 이드리스는 자신을 젖혀놓고 막내아들에게 재산 관리를 위임한 아버지 자발라위의 처사에 반항하다가 대저택에서 쫓겨난다. 그후 아드함을 꼬여 자발라위를 배신하게 하는 이드리스는 명백히 아담을 꼬여낸 사탄을 상징한다.

맏형 이드리스의 꼬임과 아내 우마이마의 부추김으로 아버지 자발라위를 배신하고 낙원으로 상징되는 대저택에서 역시 쫓겨난 아담인 아드함은 생계를 위한 노동을 하며, 평생 아름다운 정원에서의 생활을 그리워한다. 그러나 아드함은 생전에 낙원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 아드함의 아들 까드리와 후맘의 이야기는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동생 아벨을 시기해 살해한 형 카인의 이야기다.

 

이후 아드함과 이드리스의 자손들은 번성해 자발라위의 동네를 이루고, 동네를 지배하는 권력자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자발라위의 재산을 관리하는 관재인과 관재인을 도와 폭력을 행사하며 주민들을 착취하는 수장들이 바로 그들이다. 아드함의 이야기 후에 이어지는 자발 편과 리파아 편, 까심, 아라파 편은 관재인과 수장들에게 픽밥당하는 이들 속에서 나타나는 선지자들의 이야기이다. 선지자들은 핍박받는 대중들을 일깨우고, 힘을 모아 관재인과 수장들을 물리치고 새로운 세상을 열지만 그들의 시도는 매번 당대를 넘기지 못한다.

사람들은 안락한 생활을 더없이 기뻐하며 즐거운 삶을 누렸다. 그들은 자신감에 차 확실하게 '오늘이 어제보다 낫고 내일은 오늘보다 더 나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런데 왜 망각은 전염병처럼 우리 동네를 휩쓸고 지나가는 걸까?(1권, 440쪽)

 

<우리동네 아이들>의 동네 사람들은 언제나 권력자들로부터 착취당하고, 그러면서도 그에 대해 정당한 책임을 묻지 못한다. 전통 혹은 관습처럼 내려오는 불공평한 대우에 대해 따져 묻는 일없이 오히려 권력자들 앞에 머리를 조아리며 힘을 숭배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 속에서도 선지자들은 태어나고, 선지자들은 묻는다. '우리 동네 사람들 모두가 시조 자발라위의 재산에서 나오는 수익을 가져갈 권리가 있는데, 왜 모두들 힘에 굴복하기만 하는가'고. 이러한 물음은 선지자들을 혁명가로 둔갑시키고, 동네 사람들을 무장 시켰다.  그리고 그들의 물음은 새로운 세상의 단초가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권력은 부패하고, 대중은 부패한 권력에 굴복하고 힘을 숭배하기를 되풀이 한다.

 

나지브 마흐푸즈가 이 알레고리 소설을 통해 묻고자한 선지자들의 물음은 <우리 동네 아이들>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작가가 이 소설을 쓴 것은 1952년 이집트의 나세르 혁명 이후라고 했다. 그는 혁명의 와중에 만연한 탄압과 고문, 투옥의 역사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고 한 일간지의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우리동네 아이들>은 힘에 굴복하는 대중은 사막 한가운데 만 있는 것이 아니며, 그 옛날 이야기 속에서만 등장하는 것만이 아니다. 소수의 지배층에 의한 착취가 어째서 지금도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는지에 대한 작가의 물음 인 것이다. '왜 우리 동네 사람들은 자신의 권위를 스스로 세우고자 하지 않지?'

 

이상한 것은 선지자들에게 나타나 동네 사람들의 권위를 찾으라고 종용하며, 자신은 그들의 편이라고 말하는 자발라위는 절대 스스로를 사람들 앞에 나타내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대중을 착취하는 지배층에게도 그 모습을 드러내거나 그들의 죄악을 벌하지 않는데, 현실에서도 역시 신은 권능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2015년 1월 필리핀을 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12살 소녀는 물었다. "많은 어린이들이 마약과 매춘에 내몰리고 있어요. 신은 왜 이런 일이 벌어지도록 내버려두는 거죠?

신은 역시 우리 일은 우리 스스로 해결하기를 원하시는 걸까? 그의 피조물인 인간을 너무도 사랑하시기에 사후가 아니라면 인간을 심판하고 싶지 않으신 걸까?

나지브 마흐푸즈는 이 소설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가져올 희망의 끈을 이야기 했지만, 신의 권능에 대한 의심스런 눈길은 가리지 못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