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 무엇이 가치를 결정하는가
마이클 샌델 지음, 안기순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덕시간, 돈이 만능은 아니라는 규율 교사의 훈계와 같은 제목의 책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읽었다. 사실은 그다지 흥미를 끄는 책은 아니었다. 굳이 읽지않아도 제목만으로도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뿐더러, 이전에 읽었던 마이클 샌델의 <정의는 무엇인가>와 <왜 도덕인가> 만으로도 이 책이 어떨것인지는 충분히 가늠이 되고도 남았기 때문이다.

 

자, 우리는 이미 돈으로 살 수 없는 것과 돈으로 사서는 안되는 것들을 충분히 알고 있다. 양심, 도덕, 관습 등 도덕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누구나 천박한 경제논리와는 구분하기를 원하고 구분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우리가 미처 깨닫기도 전에 경제논리는 생활 깊숙히 스며들어 무엇이 경제적 가치와 구분되는 도덕적 가치인지 조차도 모호해진 채로 생활하고 있다. 

샌델의 비유대로 이를테면 출퇴근 시간의 유료도로(돈을 내면 빨리 달리수 있는 차선)라던가, 또는 전담의사제를 통한 신속한 진료, 무료음악회나 공청회의 암표거래 등을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라고 볼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살펴볼 때, 과연 그런가 하는 딜레마에 빠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자본주의란 것이 그런 것 아니던가. 돈을 낸다면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는 논리가 자본주의를 지탱하는 근본 뼈대가 아니던가.

샌델에게 묻고 싶다. 시간이 곧바로 황금과 연결된대서만은 아니겠지만, 각종 강연 외에도 숨돌릴 틈 없이 바쁠 샌델 교수의 경우, 전담 의사제도를 이용하지 않은채로 진료표를 뽑고 다른 사람들과 같이 몇시간 혹은 몇 날을 투자해 진료순서를 기다리고 있는가, 강연을 위해 혹은 이번처럼 새로운 책 홍보를 위해 우리나라와 같은 먼 나라를 여행할 때 '맞춤 특권'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혹은 이미 VIP로서 본인이 따로 원하지 않아도 다각도의 특별 서비스를 받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해보지 않은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말이다.

 

마약에 중독되거나 에이즈에 감염된 산모에게 돈을 주고 불임수술을 받게 한다면, 그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일인가. 그렇다면 마약에 중독되거나 에이즈에 감염된 태아를 출산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은 일인가. 그것은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삶을 아이에게 강요하는 결과가 되는 것은 아닌가. 어느 누구도 자신이 출생이전부터 잘못되는 것을 받아들일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는 오히려 무엇이 도덕인지 샌델에게 묻고싶은 것이다. 샌델이 그토록 주장하는 공공의 선이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결국 나는 이전에 읽었던 두 책, <정의란 무엇인가>와 <왜 도덕인가>에서 주장했던 우리가 도달하고 이루어야 할 '공공의 선'의 의미마저, 이 책을 읽으므로서 혼란스러워지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해서 이 모든 저작의 시발점이 된 샌델이 29세에 썼다는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우리나라에서는 그저 <정의의 한계>라는 제목으로 지난 3월에 멜론에서 출간되었다)를 읽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되었다. 샌델의 주장은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하는데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샌델은 모든것이 시장주의로 환원될 때의 문제점으로 두가지를 들고 있다. 하나는 돈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사이의 불공정에 관한 문제이고, 또 하나는 근본적인 가치의 부재를 들고있다. 첫번째 불공정에 관해서는 이미 우리가 수용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가 이미 다소의 불공정을 내포하고 있기때문에 오히려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한다. 문제라면 누구도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사민주의를 선택해 태어날 수 없다는 것, 혹은 태어난 후라도 선별해 선택하기 힘들뿐더러 갈수록 전세계의 '자본주의화'에 있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다면 기본가치에 관한 것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 이것은 무엇이나 거래대상이 되는 사회에서 우리 모두가 같이 치러야 할 대가에 관한 것라고 샌델은 말한다. 그러한 대가에 관한 것이라면, 전자의 '불공정'의 문제보다는 더 유의미하다 라고 본다. 이미 시장만능주의 사회 곳곳에서 비인간적으로 여겨지는 크고작은 일은 일상처럼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문제라면 샌델의 의견에 적극 동조하지만, 그렇다고 샌델이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 철학자는 아니라는 것에 나는 또한번 실망한다. 다만 문제를 잔뜩 물어놓고 자신은 쓰윽 빠지는 제스처를 샌델은 이번 책에서도 역시 고수하고 있다. 나로서는 바로 그점이 짜증난다. 서점에서 <정의의 한계>를 뒤적여 보지만 그다지 썩 끌리지는 않는 것이, 한동안은 샌델을 잊고 지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