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사회공동체 학교 - 건강한 사회, 행복한 사람들
서해경.이소영 지음, 마정원 그림 / 휴먼어린이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한때는 세상 사람들의 수많은 관점에 일일이 맞춰가며 사는 게 피곤하고 짜증나 전유성씨가 쓴 책처럼 ‘조금만 비겁하면 인생이 즐겁다’를 외치면서 적당히 눈치봐가며 대충 살아본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결혼 전 혼자만의 멋에 겨워 살 때의 이야기일 뿐, 아이 셋의 엄마로 사는 지금은 절대로 의식하고 비겁한 행동을 일삼으면서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거나 불쾌하게 만들지 않으려 노력하고 산다. 

엄마라는 입장에 처하다 보니 결국 건강한 사회와 행복한 사람들이 넘쳐나는 사회란 우리 아이가 맘껏 웃고 즐거울 수 있는 사회와 같다는 것을 인식하고부터 내가 조금 불편하더라도 다른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행복한 사회공동체 학교’는 각양각색으로 존재하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존중받고 사랑받을 자격이 있으며, 서로를 돕고 사는 세상을 만드는데 조금 더 신경 쓰고 실천하며 살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이주 노동자들이 처한 상황, 지구촌 시대에서의 인종과 민족, 생명과 환경, 가난, 학대, 장애, 성차별과 성적 소수자, 가족, 외로운 노인들. 이 모든 주제는 알게 모르게 내가 살고 있는 환경 속에서 얼키설키 관계를 맺고 있다. 30년 전 이주 노동자이셨던 작은 아버지, 막내외삼촌의 배우자인 중국인 외숙모, 가난 때문에 홀트를 통해 막내 동생을 해외입양 시킬 뻔 했던 일, 점점 악화되고 있는 환경, 서서히 노령의 나이로 하루하루 나이를 먹고 있는 나와 가족들처럼 말이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익숙해진 것만을 받아들이고 그 외의 것들에 대해서는 쳐다보려 하지도 않으며, 아무런 해악을 끼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무시하고 핍박하는 모습 속에서는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낮은 자존감과 배타심이 켜켜이 싸여 있기 때문임을 자각하게 만들고, 행복은 모두가 함께 했을 때 가치가 있는 것임을 다시금 생각나게 하는 가볍지 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