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탄자니아의 거대한 탕가니카(바이칼호 다음으로 크다는)호수에 큰 배가 물살을 가로지른다. 1등석 비용이 부담스러우면 파격적으로 3등화물석은 한 명 자리 값만 내면 식구들을 같이 타게 해준다(3천원). 몰래 탔다가는 밖으로 던져진다(라는 승객 인터뷰가 있다). 승하선 시에 규칙과 질서가 없어 혼란한데 다 같이 내리는 중에 다 같이 오르려는 중이므로 승객들은 폭발하여 몸싸움을 하곤 한다.


힘겹고 붐비는 화물칸에는 돈이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아주머님이 있다. 이십팔만(대장경)육천원이 없어지고 이만오천원 뿐이안 남아 있다고 얼른 내놓으라고 한다. 훔치지 않아 돌려줄 돈이 없다고 주장하는 의심 받는 아기엄마는 가진 돈을 보자는 요구를 결국 '받아 안고' 돈을 꺼내 보인다. 이건 내 돈이라며 흐느껴 운다.“돈 훔친 자에게는 가난이 쫒아갈 것이요, 그 돈을 쓰면 불행이 따를 것이다라며 중재하러 온 선장은 일갈하나, 그녀의 가진 둥 마는 둥 한 액수의 돈을 보더니 돈의 크기가 다르고 액수가 터무니없이 어긋나니 누명이었음을 밝혀준다.


1등석은 평화롭다. 식당 칸도 시설이 좋다. 선장은 주방장을 칭찬한다. 주방장은 화알짝 웃는다. 오늘 메뉴는 매운 양고기, 튀김류, 쌀밥, 생선 등이 있고, 싣고 가는 싱싱한(=살아있는) 닭들을 소개하며 이렇게 말한다.“우리는 닭 백 마리를 먹어요.”2,3등석은 냄새만 맡을 수 있다.


탄자니아는 악마의 손길이 뻗친 낙원 같다(라고 나레이터는 말한다). 소와 야크가 평화롭게 지나가는 아름다운 땅에 주술이 일상생활에 끼어들기도 한다. 무거운 돌을 환자 가슴에 얹고 작은 망치로 살짝 치고, 도끼날을 가슴에 대고 작은 망치로 살짝 친다. 팔이나 머리에 면도땡을 살짝 그어 피를 내고 악마를 내보낸다(고 주술치료사는 주장한다). 그는 부적을 사업가나 정치인에게 팔기도 한다.


백색증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가지면 부자가 된다거나 선거에 당선된다는 미신이 있어서 손가락은 칠십삼만원, 시체는 천만원에 거래된다. 극심한 빈곤으로 인해 그 일을 대행해주고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오밤중에 백색증 환자 집에 침입하여 횃불을 들이밀고 손가락을 잘라 달아났다고 백색증쉼터의 당사자는 증언한다.


25년 동안 탄자니아의 인구는 두 배 증가했고 그 나라를 봐서도 지구를 봐서도 무시무시한 속도다. 어떤 어부는 정수 안 된 더러운 호수의 물을 그냥 마시는데 질병과 콜레라 같은 전염병에 노출돼 있다. 먹을 것은 물고기뿐이지만 그물을 쳐도 걸려 나오는 게 없다. 이곳에서 물고기를 잡으려고 노 젓던 사람은 서른 명이었는데 이후 오백 명이 되더니 지나친 남획으로 씨가 마른 것이다. 그래도 그는 말한다. “믿기 힘든 상황이지만 그래도 노력 해야죠.”


한편 화물칸에 타고, 도둑 누명을 쓰고, 울고, 굶고, 아기가 더울 새라 보살피던 젊은 새댁엄마여자시민사람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첫 직업으로 논일을 택한다.우린 항상 함께 일하네. 전사처럼 일하네.” 밝디 밝은 얼굴들 여럿이 까딱까닥 흥겹게 노동요를 부르며 손으로 모를 꼭꼭 심는다. 나도 흥이 돋는다. 돈워리 비해피 하쿠나 마타타. 잠보 잠보브와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사와 무덤에 심취하여 은근 바쁘나 약간의 이성을 할애하여 이 글을 작성한다. 작가 박완서 무덤 잔디는 정기적으로 전문적으로 벌초적으로 관리적으로 잘 되고 있었고, 꽃다발도 몇 개 놓여 있었다. 바람에 흩어진 그것을 잘 모아주며 이 정도면 누울만하십니다’ 했는데 고요하였고, 다음에 가니 히득스그리한 것들은 치우고 빛깔이 선명한 것 하나만 놓여 있고 주변은 온통 여름풀로 가득하나 이곳은 단정하니 풀 깎아놓은 솜씨가 예사롭지 않다.

자전거도 사고 자전거 책도 샀건만 공부하기 전 책상 정리하고 서랍 열어 뒤적거리고 필통 들여다보고 하듯이 갖추는 것만 열심 하다.

 

홍콩영화 아비정전에서 초식남 유덕화는 ‘1분세뇌녀’ 장만옥에게 가난에 대한 비교평가자각의 경험을 들려준다.

 “어렸을 때 내가 가난한지 몰랐죠. 근데 친구들은 새 옷을 입는데 나만 단벌 신사더군요.”

 

수길은 가난한 집안의 모든 재화와 공력을 들여 고등학교까지 졸업시킨 믿었던 장남인데 빈둥대기만 하다가 서울로 돈 번다고 떠났으나 2년간 연락이 끊기더니 여러 가지를 사들고 귀향하여 부모와 동생들 모두에게 큰 기쁨을 주지만 읍내서 도둑질로 장만한 것들이라 다음날 경찰에 잡혀가고, 현장검증 하는 날 수남은 사람들 틈에 끼여 형의 그 꼴을 보게 된다.

 

(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 중에서 하나 키우지, 피터 팬 반려돌은 정말 최고인데, 검은머리 짐승머리 짐승들을 누가, 어느 기관이 떠받들어주고 헤아려준다고 죽으면 태우고 갈아서 어디 가서 버리라는데 뭐하러 평생 갖은 고생과 근심걱정에 짓눌리고 꿰어달려 힘들게 헤매이는 법칙에 뛰어든 것인가 이번 생은 처음이라 아버지여)

기대가 깨진 아버지는 몸져눕고 다음 타자 수남이 돈 벌러 떠날 때 서울 가서 무슨 짓을 하든지 도둑만은 되지 마라” 당부한다.


 숙식제공 되는 전기용품 도매상에서 일하게 된 외롭고 높고 쓸쓸한’ 수남은 어느 날 배달을 나갔다가 귀향결심의 단초가 되는 일을 겪게 된다. 엄청난 바람이 불어 세워 둔 자전거가 어떤 차 쪽으로 절로 넘어진다수남은 못 봤지만 긁혔다고 주장하며 차 주인은 오백 원짜리 자물쇠를 자전거 바퀴에 채우고 길 건너편 자기 사무실로 오천 원을 가져오면 열어주겠단다. 차 주인이 떠나자 구경하던 사람들은 자전거를 들고튀라고 부추기고 울던 수남은 들고튄다. 돌아와서 얘기를 하자 사장은 돈 굳었다고 좋아하며 자물쇠를 해체한다.

 

수남은 열여섯 살인데 옛날 어느 시절에는 그 나이면 부모이기도 하고 어른 대접 받지 않았던가 마는 사람들은 사람 간의 도리에 어두워 머리에 알밤을 먹이곤 하는 등 신체를 함부로 다루기도 한다.

그러나 일단 디지털 시대에 비해 (해법은 모르겠으나) 삶의 문제는 부러울 정도로 단순해 보이지만자전거를 들고튈 때의 짜릿함에 

형을 떠올리고 착잡한 그는 아버지처럼 자신을 반듯하게 세워줄 어른이 없다는 이유로 고향으로 돌아갈 결심을 한다.

 

수남의 시절에는 돈 버는 곳에 세금 있다는 법칙이 없어서 어리고 늙고 간에 가족 개별로 속속들이 세금을 안 냈고 모두 협심하여 (돈을) 같이 똘똘 뭉치면 잘 뭉쳐지고 그렇게들 뭉쳤다. 명도 짧아서 백세까지 살 돈을 장만하지 않아도 돼 어느 정도 때가 되면 아랫대에 내놓고 물러나니 절로 순환이 되었다. 물론 그런 가족공동체시절이었기에 형 수길은 (무상증여 해준 자신에게 무상증여 받으려 기다린다는 것을 알기에 어리석게도) 가족 생각에 도둑()이 되었고 이렇게 소리쳤다.

“2년 만에 빈손으로 집에 들어갈 수는 없었단 말야. 도저히 그럴 수는 없었단 말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먼저 콧줄과 목에 구멍을 뚫은 채로 요양병원이나 재활병원으로 전원을 가서 계속해서 

누워서 지낸다. 그러다 엉덩이 사이의 천장골 주변에 가장 먼저 욕창이 생긴다.

욕창 치료의 기본은 해당 부위가 압력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인데, 천장골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려고 환자를 옆으로 누이면 이제는 눕힌 쪽 골반뼈 주변에 욕창이 생긴다.

욕창은 대체로 뼈가 도드라지고 피부가 얇은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생기는데, 대부분 잘 낫지 않고 나중에는 뼈가 훤히 드러날 정도로 살이 파인다 64쪽


"집으로 가고 싶어요."  9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달렸다. 그러나 달리는 것은 바로 그였다.<말테의 수기>(p106. 릴케. 김재혁 역)



<네 가슴속의 양을 찢어라>(프리드리히 니체, 김재혁 역)

    

 너는 길을 잃었으니 네가 의지할 것은 위험뿐이다. (p.79)

     자기를 처형한 자여......(p.1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라틴아메리카 여러 나라에서는 신발이 부족한 탓에 제대로 된 신을 신고 다니지 않는 

사람들이 다수를 이룬다. (...) 신발이 부족하다고 해서 그들의 자력이동이 제한을 받는 일은 절대로 없다.

그러나 남아메리카 일부 나라에서 맨발을 한 사람들에 대해 학교나 직장이나 공직에 들어오는 

것을 막은 이후로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신발을 신게 되었다.(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