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 함께 : 신화편 세트 - 전3권 신과 함께 시리즈
주호민 지음 / 애니북스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신화는 보통 허무맹랑한 옛날 이야기쯤으로 여겨지고 무시당하기 일쑤다. 그러나 우리 곁에는 이미 신화가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너무나 유명해져 아이들의 필수 교양도서가 되어 버린 그리스 신화를 비롯해서 우리에게 낮설다고 생각하는 저 먼 북유럽 신화조차 우리의 일상 속에 강하게 그 흔적이 남아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일주일의 영어 이름이 바로 북유럽 신화의 신들인 티르(화요일의 튜즈데이), 오딘(수요일의 웬즈데이), 토르(목요일의 터즈데이), 프레이(금요일의 프라이데이), 마니(월요일의 먼데이), 솔(일요일의 선데이)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이처럼 신화는 과거에 죽어버린 미신이 아닌, 아직까지 우리 곁에서 생생하게 살아 숨쉬는 힘이자 흔적인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다른 나라의 신화인 그리스 신화나 북유럽 신화, 이집트 신화, 인도 신화, 중국 신화들은 비교적 잘 알지만, 우리 조상들이 믿어왔던 신화는 거의 알지 못한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삼국시대 이후로 우리 조상들은 외래 종교이자 철학인 불교와 유교를 강하게 믿어 전통 신화를 멀리했고, 특히 조선 시대에는 지배층들이 백성들에게 유교를 강요하여 고유 신화를 미신이라고 멸시하여 철저하게 박해하고 탄압하는데 골몰했다. 그리하여 한민족의 전통 신화를 간직하고 있는 계층은 사회적으로 천시받던 무당들이었고, 그들은 행여 문서로 남겼다가는 지배층들의 탄압을 받을까봐 신화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철저하게 입에서 입으로만 전해왔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을 거쳐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도 '우리 것'에 대한 다시 찾기 열풍이 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해방 이후, 우리들은 낙후된 나라를 일으키기 위해서 미국이나 일본, 유럽 같은 외부 '선진국'들을 무조건 숭상하고 본받아야 한다는 강요된 교육을 받았고, 그에 반해 우리 것은 전부 낡고 나쁜 것들이라고 여겨왔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것이 1980년대 말부터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좋아지고, 민주화 바람에 불면서 동시에 그동안 잊어왔던 우리 만의 고유 문물과 특히 신화 같은 민담을 다시 발굴하는데 뜻있는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면서 '한국 신화'가 재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20세기 말과 21세기에 들어 재발굴된 한국 신화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바리데기 공주이다. 원래 이 바리데기 공주 이야기는 한반도 본토와는 거리가 먼 제주도에서 무당들의 입을 통해 전래되던 설화였는데, 국문학자와 신화 연구가들의 노력으로 힘들게 찾아내어 복원한 것이다. 바리데기 공주 이야기 이외에는 제주도에는 지금은 한반도에서 찾아보기 힘든 신비한 신화와 민담들이 많은데, 이는 제주도가 한반도와 거리가 멀어서 불교나 유교나 기독교 같은 외래 신앙들이 별로 힘을 쓰지 못했고, 제주도의 고유한 풍습이 강해서 그만큼 한국 신화들을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 만큼, 주호민 작가가 그린 만화 <신과 함께>에서 설정한 신화들의 대부분은 바로 제주도 신화에서 가져온 것들이다.

 

 2009년부터 포탈 사이트 네이버에서 연재되었던 웹툰 <신과 함께>는 총 3부작으로 1부 저승편 2부 이승편 3부 신화편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그리고 얼마 전인 2012년 11월, 마지막인 3부 신화편이 드디어 단행본으로 발간되었다.

 

 끝부분인만큼, 신화편은 그동안 <신과 함께>에서 다루어진 각종 신화적인 설정 장치들이 어떻게 해서 유래되었는지를 좀 더 확실하게 보여준다. 예를 들어, 2부 이승편에서 나왔던 집을 지키는 수호신들이 무슨 이유로 신이 되었는지, 그리고 저승이 어떻게 해서 생겨나고 염라대왕은 누구였는지의 유래도 흥미롭게 다루어진다.

 

 신화편의 놀라운 점은 한국 신화만의 고유한 창세기를 서두에서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 인간 세상을 지배한 최초의 폭군인 수명장자가 최고신인 천지왕에게 반항하다 죽게 되면서도 원한을 남기고 모기와 파리 같은 해충들을 만들어 인간 세상에 고통을 주게 되었다는 것 등이 나온다.

 

 물론 주호민 작가는 그러면서도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국과 맞물린 풍자도 간간히 곁들인다. 천지왕의 두 아들 중 한 명이자 이승의 통치자인 소별왕은 힘없는 백성들이 자신들의 힘을 합쳐서 열 개의 해를 떨어뜨리는 것을 보고 두려워한다. 혹시나 그들이 힘을 모아 반란을 일으키지 않을까봐다. 그리고 난폭한 수명장자에게 핍박을 받았던 백성들은 그를 두려워하면서도 그리워하기도 한다. 그가 짐승을 잡아 고기 먹는 법을 가르쳐줘서라는데, 이건 다분히 박정희나 전두환 같은 한국의 군사 독재자들을 풍자하는 장치이다. 그들이 폭력으로 민중을 억압했지만, 먹는 법은 가르쳐줬으니.

 

 이런 설정은 이전 내용인 저승편과 이승편에서도 보인다. 저승편에서는 한국의 4대강 정비 사업(한반도 대운하를 이름만 바꿨다!)에 빗댄 저승의 삼도천 정비 사업 때문에 저승의 강들이 모두 엉켜서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이 가는 곳의 구분이 없어졌다는 말이 나오고, 이승편에서는 이보다 더 적나라하게 등록금을 벌기 위해 힘없는 철거민들을 상대로 폭력을 휘두르는 용역 업체들이 전체적인 줄거리 흐름의 전면에 등장한다.

 

 그런데 <신과 함께>에서 등장한 현실 풍자와 설정들이 네이버 웹툰 본편에 올라왔을 때는 공감하는 댓글보다 반발하고 욕을 하는 댓글들이 더 많았다.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굉장히 마음이 아팠다. 오늘날 젊은 독자들은 남의 고통에 공감하기 싫어하는 걸까? 아니면 그저 강자에 영합해서 그들이 던져주는 떡고물만 받아 먹으려는 얄팍한 속셈인 걸까?

 

 그동안 숱하게 거론되었던 한국적인 소재나 주제를 가지고 현대적인 감각과 맞물려 이렇게 재미있고 탄탄한 짜임새로 만든 문화 상품들 중에서는 단연 주호민 작가의 <신과 함께>가 가장 훌륭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앞으로 주호민 작가가 더 좋은 작품을 들고 다시 오기를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