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흐트와 아들
빌렘 얀 오텐 지음, 유동익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정원에는 모닥불이 지펴졌고 초상화가는 그가 지난 몇 달 동안 작업을 하기 위해 모아 두었던 자료들을 불 속에 던지고 있다. 사진, 비디오테이프, 물감. 그림을 그리기 위한 도구들이 불꽃의 크기를 키우는 사이 이제 남은 것은 한 흑인 소년의 나체가 그려진 캔버스뿐이다. ‘나’는 캔버스다. 캔버스인 ‘나’는 인간의 아픔에 대해선 알지 못한다. 그것을 알았다면 이제 곧 닥칠 고통을 생각하며 두려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단지 이제 내가 사라진다는 사실만을 생각하고 있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나를 바라보며 감탄하길 바랐다. 하지만 끝내 사람들 시선을 받지 못하고 나는 재가 되어 사라질 것이다. 누가, 왜 나의 운명이 이렇게 되도록 내버려 둔 것일까?

초상화가 펠릭스 빈센트는, 네덜란드에서 손꼽히는 거부이자 미술 수집가인 스페흐트에게 자신의 죽은 아들을 그려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빈센트는 죽은 사람을 그려본 경험이 없다. 그는 살아 있는 사람만을 그려왔고, 그것은 초상화가로서 그의 원칙이기도 했다. 그는 <피에타>를 그림으로써 자신의 창조적 그림 세계를 펼치고 싶다는 욕망을 기억하고 그 제안에 응한다. 하지만 그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사실 거액의 수수료다. 이 돈만 있으면 초상화 일을 끝낼 수도 있고 지금의 작업실을 자신의 소유로 만들 수도 있다. 그는 살아 있는 사람을 그리기 위해 죽은 이의 생전 눈빛을 기억하려 애쓴다. 그러다 자신의 기억 속 한 소년의 눈빛과 마주하게 된다. 그 소년의 눈빛을 닮은 나는 싱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내가 싱어가 되는 것은 언제까지고 세상에 비밀로 부쳐져야 한다.

이 소설의 시점은 캔버스다. 캔버스는 화실 한 편에 고정되어 서 있다. 따라서 캔버스가 전달해 줄 수 있는 이야기는 화실 안이나 화실에서 듣거나 볼 수 있는 거리의 일들로 한정된다. 화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캔버스 위에 그려지고 독자는 캔버스 위에 그려진 사건을 읽는다. 캔버스가 화가의 의도를 가감할 수 없다는 한에서 ‘나’는 객관적인 전달자다. 하지만 캔버스 위에는 딱 그 크기만큼의 사건만이 그려질 수 있다. 캔버스는 이야기를 전달함과 동시에 사건의 전말을 다 알 수 없도록 제약한다.

객관적이면서도 인간 세상을 이해할 수 없는 캔버스의 자의적인 사건 전달로 이야기는 대체 어디로 진행될지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의뢰인과 그의 아들, 초상화가, 그의 아내와 아들, 기억 속 소년을 한 화폭 위에 올려놓는다. 여러 겹 덧칠해진 물감이 캔버스 위에서 시간을 두고 녹아들며 서서히 형태를 만들어가듯, 이 소설 역시 각각의 인물들과 얽힌 오해들이 한 장의 초상화 위에 서서히 합쳐지며 놀라운 그림을 만들어 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