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적 고전 살롱 : 가족 기담 - 인간의 본성을 뒤집고 비틀고 꿰뚫는
유광수 지음 / 유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2년 출간했던 <가족기담>이 개정판으로 새롭게 나왔다.

제목도 눈에 띄면서도 부제까지 담겨 있는 표지의 글에 관심이 가기에 읽게 되었다.

우리들이 어렸을 때부터 지극히 알고 있었던 설화나 전래의 이야기들을 저자의 시점과 관점으로 인간의 본성에 대해 써 놓은 것인데 신랄하다고 우선 말하고 싶다. 각 시대적 사회주의로 인해 만들어진 이데올로기의 설화, 전래인데도 저자의 풀이에 따라 해석을 하다 보니 현재의 사회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헌을 참고하면서 펴낸 책이기에 우선 몰랐던 이야기들도 품고 있어서 재미가 있었다.

스치듯 어느 sns에서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전래 동화가 좋다고 한 피드 글을 본 적이 있다. 과연 그럴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견해지만 시대에 맞게 현재에 출판되고 있는 창작동화가 더 좋다고 말하고 싶다. 이런 글을 쓴 이유는 이 책을 읽고 나서 더욱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즉, 저자 유광수 교수의 책을 통해 아이의 시각이 아닌 어른의 시점으로 고전을 탐색하며 읽었기에 이런 측면에서 이렇게 고전을 비판할 수 있구나라는 판단을 설 수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전 큐레이팅으로 첫 만남의 설화는 「 쥐 변신 설화 」이다. 첫 설화에서부터 독자인 나를 사로잡히게 만든 내용들이 담겨 있었다. 쥐와 관련된 스토리들이 이 설화 말고도 다른 설화에서도 등장하는데 옛적의 이야기들의 쥐의 형상을 그렇게 표현했다는 게 놀라움의 연속이다. 이 외에도 수많은 것을 담아내었지만 그중에서 양반, 기녀, 첩, 열녀, 효자, 과부 등에서도 벌어지는 천태만상 한 인간 본성이 돋보이기에 설화, 전래에 대해 아시는 독자분들이라면 읽어 보시길 권장한다.

특히 부모라면 page 268 8관 「자식 사랑 패러독스」를 펼쳐서 완독하기를 바란다. 현재의 사회에서 간혹 있을 어떤 부모가 자녀에게 자식에게 행하고 있으면서도 타인들에게는 일명 자주 내세우는 말들로 " 내 자식은 안 그래요! 친구 잘못 만나서 그래요!"라고 외치거나 느끼는 부모들이 읽어야 할 대목이기 때문이다.

고전에서도 보이는 차별, 지배권 권력, 인간의 광기 등 선과 악을 다루면서도 가족이라는 틀에 갇힌 문제점들을 다루었으므로 추천한다. 호기심에 읽다가 헤어 나오지 못할 정도의 가족 기담이었음을 알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