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여자들은 침묵하지 않았다
크리스티나 달처 지음, 고유경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수하게 책 소개에 이끌려 읽게 된 장편소설이면서도

구매해 놓고 읽지 못한 (멋진 신세계), (시녀 이야기)도 있지만 읽지 않았어도

대략 내용은 알기에 이 책 또한 무엇을 가리키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현재, 완독 후 이 글을 쓰지만 지금까지도 내  감정은 분노로 휩싸였을 만큼 충격적인 소설이다. 허구로 된 가상으로 만든 스토리이지만  모든 여성이 하루에 100단어만 말할 수 있도록 만든 세상에서 산다면 과연 여성들이 가만히 차분하게 받아들이며 살아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하였다.

순수 운동이라는 명목하에 국민들의 자유를 통제하는 미국 대통령과 성경을 내세우며 권력을 장악한 목사로 인해 미국의 사회는 억압된 사회의 구조와 유독 여성들에게만은 제한적인 삶을 만들어 내었다. 여기에 더해서 성소수자, 비혼, 자녀 교육에 대한 이야기까지 첨부되어 작가만의 비이상향적인 사회의 세계를 연 작품이다.

여성이라는 존재만으로 어른과 아이의 손목에 채워진 팔찌(라고 하지만 족쇄일 뿐) '단어 카운터'를 착용해야 하는 세상에 살고 있다. 100단어 초과 시 단어 카운터로 인해 몸은 전기 충격을 받게 되고 심하면 기절까지 일으키기까지 한다.

인지 언어학자 '진 매클렐런'박사는 자신도 여성이기에 정부의 규칙에 따라

직업도 빼앗긴 채 아내, 엄마의 삶을 살아간다. 그러던 중, 단어 카운터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서 정부의  경계 아래 연구에 참여하게 되면서 또 다른 이면의 계획을 알게 된 박사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앞으로를 살아갈 자신과 딸 그리고 여성들을 위해 ,,,

읽으면서도 한 번씩 쉬는 타임을 가지며 읽게 된 디스토피아 소설. 남녀평등이 아닌 여성은 무조건 엄마와 아내의 역할을 만든 구조적인 사회의 모습과 여성에게만 침묵을 강요하는 법률에 대하여 치를 떨며 읽었다. 혼란스럽기도 하지만 읽었기에 다행이라고 여길 수밖에 없는 도서이다. 단순하게 소설로서가 아닌 현실의 사회를 부정적으로 아님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들의 따라 국가와 정치에 대한 생각의 의미를 각성하게 해준 책이라 강력히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