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양장) - 개정판 새움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문학 작품들 중에서도 고전문학들을 읽기란 쉽지가 않다.

그 시대의 정서와 작가의 생각을 담은 메시지들을 찾기란 결코 쉽지 않을뿐더러 더욱이 국외 소설의 경우 국내 번역가의 번역이 매끄럽지 않다면 손에 잡히지 않는다는 단점으로 읽고 싶어도 읽지 못하는 경우가 나에게도 독자들에게도 있을 것이다.

이렇듯, 고전문학 중에서도 전 세계에 번역이 되어 팔리고 있는 《 이방인 》을

번역가 이정서으로부터 새롭게 재번역이 되어 출간한 개정판  《 이방인 》을 읽게 되었다. 유명하다고 할 만큼 유명한 소설이라서 짐짓 소설의 전개를 잘 알고 이해하면서 읽을 수가 있을까 하며 페이지를 넘겼는데, 놀라울만치 하루(24시간) 만에 완독할 수 있었던 고전문학이다. 확실하게 완벽할 정도로 이해하며 읽은 것은 아니다. 무언가를 느끼고 느꼈지만 딱 꼬집어 설명할 수 있는 단어를 찾지 못해 입안에 맴돌았다. 그리하여 이해하지 못하는 장면은 우선 건너뛰고 읽었다. 이 부분은 나중에 소설이 끝난 후  다른 페이지에 '역자노트'와 '이방인 깊이 읽기'도 수록이 있었기에 궁금했던 점과 오해했던 장면 부분들을 친절하면서도 독자에게 납득할 수 있게 설명이 되어있었기에 풀렸다는 점이다.

주인공 뫼르소라는 인물이 일반인들과 남다르다. 감정이 메마르고 현실 감각 부족이라고 해야 할까? 자신의 엄마가 돌아가신 것에 불행할 것이라고 단념하는 타인들의 시선과 생각들을 이해를 못 하고 그 상황에서의 불편함만을 느끼는 뫼르소의 인물이다. 변화된 삶보다는 익숙한 삶에 익숙하게 살아가던 찰나에 사건이 발생한다. 권총을 발생해 아랍인을 죽인 뫼르소. 법정에서 그의 행동, 감옥에서의 그의 행동들과 판결 선고까지 들으면서까지 이방인의 모습을 보인 뫼르소이다. 그래서 이방인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러므로 누구도 이방인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