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의 눈물 - 개정판
김연정 지음 / 매직하우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년 개정판으로 다시 출간한  [천지의 눈물]

휴화산으로 천년 동안 잠들어 있던 백두산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

소설의 스토리가 시작되기 전의 해동성국(일명- 발해)의 왕자 대광현의 독백의 이야기로 백두산의 발화로 인하여 생긴 백성들의 죽음과 발해가 없어진 이유에 대해 후손들에게 알리는 이야기로 이 소설의 시작임을 알려주는 맥락의 부분이다.

4개국으로 인한 과학자들이지만 여기에서도 자신의 나라에 대한 생각으로

대립구도 상황과 남북 대립 구도가 겹치면서 아슬아슬한 인물의 구도와 정치적 경향까지 잘 드러내어 이 부분에서는 만족하며 읽을 수밖에 없었다.

다만, 북한의 땅으로 되어있는 구간이 아닌 중국의 영토로 되어 있는 구간으로 4개국이 참여하여 (중국, 일본, 북한, 한국) 각 대표하는 과학자들이 함께

백두산의 화산 활동의 시기에 대해 연구를 한다는 내용으로 스토리를 이끌어 간다.

사실적인 면을 참조하며 스토리를 이끌어낸 소설이기에,,,

처음엔 다소 다큐멘터리식의  방향으로 이끌어 갔기에 집중할 수는 없었다.

그만큼 용어와 수치들이 드문드문 설명하는 방식이 나열이 되어있기에 지금도 약간의 혼동은 오지만 모르는 것보다는 아는 것이 힘인 만큼 지금이라도 읽게 되어 좋게 생각하는 도서이다.

과거 일본의 만행, 탈북자, 강대륙 압박감으로 인한

현 국가와 사회 시사 등 별반 다르지 않는 구조도 곁들어 있었기에

직설적이면서도 잘 버무려진 재난 소설이기에 칭찬해주고픈 국내 소설이다.

백두산에 대한 기사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영화에 대한 기사들이 흘러넘친다. 그것 말고 함경남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백두산"의 기사를 찾아보기를 권고해본다. 그럼 전문서적보다는 그나마 이해가 편한 소설로 이 책에 대해 궁금증이 나타나지 않을까? 한다.

백두산이란 이름은 화산이기 때문에 만들어졌어요.

화산이 폭발하면서 휘발성 물질이 빠져나간 암석을 흔히 부석이라고 하는데 (중략)...

그런데 백두산의 부석은 흰색이에요. 화산이 폭발한 뒤 흰 돌들이 산 정상에 쌓여 하얗게 보이니 흰 백(白)에 머리 두(頭)를 써서 백두산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 있어요,-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