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로셀라 포스토리노 지음, 김지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간 전 문예출판사의 네이버 포스트 연재를 우연히 읽게 되면서

소설의 끝맺음을 알고 싶어 가제본 서평단으로 뽑혀 읽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의 역사에 담겨있지만 그동안 몰랐던 한 여성의 고백으로 인하여그동안 자신이 행하고 알고 있었던 과거의 일들을 알리는 실화 바탕의 소설이다.

페이지를 넘기고 첫 문단의 글부터 시작으로 하얀 벽, 커다란 방, 원목식탁, 상차림으로 이 소설의 의미를 알려주어 첫 장부터 눈길이 갈 수밖에 없었던 초입부의 시작이다. 자발적으로 가 아닌 강압적으로 나치 친위 대원으로부터 히틀러를 위해 일해야만 했던 "로자"와 그 외 9명의 여성.  총 열 명의 여성으로 구성된 히틀러의 시식가들이다. 음식을 먹고 난 후 음식에 독이 있는지에 대해 알기 위해  음식을 먹는 그녀들이다. 오로지 히틀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고 일을 해야만 했던 여성들의 임무였다. 전쟁으로 떠난 남편과 식구들의  생존조차 알기 힘든 상태에서 여인들은 또 하나의 공포를 느낀 채 자신의 목숨을 쥐고 있는 히틀러의 음식들. 




히틀러에게 가기 전 똑같은 음식을 먹으며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먹어야만 했던 시식가들의 운명을 그려내었다. 반항조차 할 수 없는 면을 그려내었고 시식가들인 그녀들의 사이에서도 서로 간의 친밀감을 느끼지 못한 채 죽음을 생각하며 먹어야 했던 하루하루의 고찰들을 표현해내었다.

'로자'는 친정엄마의 죽음으로 베를린에서 시부모님이 계시는 시골에 내려가 함께 살아가는 도중 시식가의 운명을 맞닥뜨리게 되면서 전쟁에 나간 남편을 그리워하며 남편이 보낸 편지에서 보낸 글과 같이 남편의 크리스마스의 휴가를 기다린다. 운명의 장난이었을까? 시아버지가 정원사로 일하시는 남작부인에게서 파티를 초청받은 '로자'는 파티에 참석을 하면서 그곳에서 한 남자를 알아본다. 시식가들을 감독하고 책임지고 있는 독일 장교 '치글러'중위를 보게 된다. 서로 간을 알아보면서도 암묵적으로 아는 체는 하지 않고 그 이후의

로자와 치글러의 관계 또한 미묘하게 흘러가는 또 다른 소설의 맥락이다.

단어들과 문단들에서 쓰인 묘사 또한 실화를 바탕으로 쓴 것인 만큼

페이지를 넘길수록 몰입도 상당하기에 전쟁에 따른 또 다른 이면을 알 수 있었던 소설이다. 자신이 원해서 결단코 선택해서가 아닌 전쟁과 히틀러라는 인물로 인해할 수밖에 없었던 이행들과 혹여나 나치 추종자로 보일까 봐 그동안 꽁꽁 묻어두고 숨겨 했었던 시식가의 실존 인물의 이면을 담은 소설임을 알리고 싶다. 전쟁으로부터의 자유로울 수 없는 체제와 고통과 억압을 받으며 살아야 했던 '로자'의  현실을 글 속에서 알아봐 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