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재가 노래하는 곳
델리아 오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살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대한 소설이다. 습지와 자연을 담아내었으며 또한 이 책의 주인공이자 불우한 성장기를 보낸 그녀 "카야"는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았지만 자신의 마음 안에서 느꼈던 사랑에 대한 성장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습지에서 산다는 편견으로 마을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의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법정에 있지만, 자신이 자라난 습지의 판잣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카야"의 스토리이다. 소재의 짜임새와 카야의 어린 시절과 어른 카야의 두 시점과 살인사건으로 조사하는 보안관의 현 시각 시점으로 교차하며 이 소설의 스토리를 이끌어가면서 독자들이 잘 모르는 습지인 자연에 대한 내용도 일연목연하게  정주행 할 만큼 읽었던 영미소설이다.

이 책이 또 흥미로운 점은 70세 여성 생태학자의 첫 데뷔작이라는 점도 한몫을 했다. 직업이지만 한길 인생이었던 작가의 본업을 잘 살려내어 만들어낸 소설.

고정관념으로 마을 사람들의  뿌리박힌 부정적인 편견으로 바라보는 그들의 심리묘사까지 표현을 드러내었다.  습지라는 생태계에서 자라나고 언니, 오빠, 엄마까지 카야의 곁에서 가족이 다 떠나면서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아버지까지 카야의 곁에서 홀연히 사라지게 되고 어린 나이이지만 홀로 자연에서 생존하는 법을 터득하며 보낸 고립된 세월을 잘 표현해내어 독자인 나도 스토리의 전개에 빠지며 완독하게 되었다. 타인과 단절된 채 살아갔던 카야의 눈에 사랑도 찾아오면서 낯설지만 사랑에 대한 감정까지 알아가는 카야의 심리까지 잘 녹아져 있다.

외롭지만 생존하는 법을 자연에서 터득하며 살아간 "카야"

아름다운 자연과 미스터리 법정에 눈길에 간다면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영미소설의 책이며, 타인의 편견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카야의 심리까지 뚜렷하게 색채가 있었던 경이로움과 나도 모르게 소설을 읽는 독자인 나였지만 법정에서의 스토리에서도 카야에게 응원을 보내고 있었을 정도로 긴장감의 균형까지 돋보인 소설이다.

그녀가 아는 것은 거의 다 야생에서 배웠다.

아무도 나서지 않을 때 자연이 그녀를 기르고 가르치고 보호해주었다. -p4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