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소설을 읽으면 그녀만의 특이함과 화법이 돋보인다.
역시 무라타 사야카 작가이다.

출근부터 시작을 하여 퇴근할때까지 편의점에서의 업무와
퇴근 후에도 휴일에도 언제나 편의점에서의 일만 생각하는
주인공 "후루쿠라".
그녀는 어릴때부터 남들과 다른 해석으로 생각을 하는 아이였다.
유년시절을 보내고 남들과 다르다는것을 인식하고
오히려 그녀는 주위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으로 모든 사람들을 생물로 비유를 한다. 평범하게 살기 위해 그때 그때의 나이에 맞게 규율에 맞혀서 살아야 하는 그녀의 이야기로 이어가면서 어느 한 남자를 만나게 되면서 또 하나의 이야기장이 열린다.

혼인의 나이가 훌쩍 넘어갔는데도 연애도 결혼도 안한 모태솔로 후루쿠라는 걱정하는 주위사람들에게 걱정을 덜어주기위해 만난다는 것이다.
또한 이성이 아닌 애완동물로 남자를 대한다는 것이고
상대의 남자도 후루쿠라에게 이성이 아닌 자신의 거처를 제공해주는
그냥 동지로써 자신의 안위만을 위한 비상적인 남성으로 나온다.
이 두 남녀는 외부의 사람들에게 정상적인 인간처럼 살아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협동심에 불과할뿐. 그저 각자만의 인생을 자신들의 
원하는 인생관으로 살면서 남들에게 보이기 위해 정상적인 인간이라고
자부심을 느낄뿐이다.

살아가기위해 다른사람의 표정과 말투등을 배우며 살아가는 여성으로 나온 후루쿠라. 그녀는 지금처럼 36년을 살면서 앞으로도 쭈욱 변할수 없는
현재의 삶처럼 이어갈듯한 그녀였다.

현재의 나이에 맞게 틀안에서의 굴레에 돌아가야 하는 세상에서 살기란 쉽지는 않을것다. 직업의 귀천이 어디있으며 연애, 혼인, 자녀까지 해야하는 것은 어디에도 법으로 지정된것은 없다. 또한 표본도 없는것이 인생의 삶이다. 다만 주인공으로 나온 후루우카의 여성에 대해 어디까지 이해를 해야하는 것일까? 그녀도 한 사람의 인간이기에 그냥 그려러니 해야하는 것일까?
읽고나서 혼동이 온다. 과연 정상적인 인간의 규칙은 어디까지 인것일까?

조금만 더 붙혀서 실제로 작가가 편의점에서 일을하며 쓰게 된 
자선적 소설책인데 읽는 내내 나 또한 편의점에서 일한 기분이 든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게 일본 편의점은 체계적이다라는 느낌이 들었기에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확연히 일본 편의점이 더 좋다고 생각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