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호에서는 303호 여자가 보인다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죽여 마땅한 사람들 』 저자의 신간이 출간이 되었다.
우선적으로 `아파트먼트 스릴러(공동주택에서 벌어지는 공포)`로
가닥을 잡은 거라 얼마만큼 독자에게 한정적인 건물과 공간으로 공포를
몰아줄지 넣을지 궁금하면서도 제목부터 무언가로부터 느껴지는 느낌으로 다가왔다.

케일러는 혼자만의 망상과 공황장애로 그려진 여성으로 그려졌다.
더불어 전 남자친구로 인해 생긴 데이트 폭력 때문에
하루하루 불안에 살아가던 여성이다.
그러던 중 육촌지간인 코빈의 제안에 6개월간 서로 집을 바꿔 살기로 한다.
코빈의 집으로 간 첫날 옆집에 거주하는 여성이 연락 두절되었다는 친구의 말에

케일러는 또다시 망상에 빠져들며서 옆집 여성은 죽었다고 생각하게 되고

 다음날 정말로 자신이 생각했던 거와 똑같음을 알게 된다.
하필 케일러와 코빈과의 집 바꾸기 바로 전날에 의문의 살인을 당한 것이다.

빈과의 연관이 없을 거라고 자부하던 케일러도 한 남성을 만난 후
뭔가 이상함을 깨닫고 나름대로 집안을 수색하며 옆집 여성과

코빈의 관계를 파헤치면서 자신이 만난 인물들마다 스케치를 하는데 어느 날부턴가
스케치 한 그림이 뭔가 이상함을 느낀다 . 그렇게 또다시 한번 공포를 마주하는 스릴러였다.

주요 인물은 케일러로 이어나가지만 위에 쓴 글을 본봐와 같이
케일러에 설명에 있는 한 남성 또한 이 책에서 주요 인물로 다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관음증. 의문의 살인을 당한 이 여성을 언제나 자신의 창문에서 지켜보던 남성인 것. 아파트 형식이 ㄷ 형태이기에  창문과 창문으로 서로를 볼 수 있다는 점인 건물이다.

이웃 간이라도 친한 적은 없지만 언젠가는 그녀와 사귈 날만을 기다리던 스토커 같은 관음증을 즐기던 그였다.
이 남성도 코빈의 행동에 이상함을 느끼며 케일러에게 다가가 코빈의 행적을 묻기도 한다.

살인, 데이트 폭력, 질투, 관음증 등 여러 범죄형태를 갖춘 범죄 스릴러였으며 완독 후엔 바로 소름이 돋았다.

여러 사람들의 등장, 그들의 심리까지 표현을 함으로써 점차 범죄의 현장까지 천천히 나열이 되니 소름이 확 날수밖에 없었다. 

옆집 여성의 살인으로 부터 시작으로 연쇄 살인사건까지 더해서 범죄 소설을 담은 영미소설이다.
제나 불행을 달고 산다는 케이트의 말에서 동정과 안쓰러움이 묻어났다.
그녀의 앞날은 과연 해피일까? 아니면 새드일까?
궁금하다면 읽어보시길... 읽어보고 후회는 하지 않을 아파트먼트 스릴러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