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의 공장의 불빛
김민기 작곡, Various Artists 노래 / Kakao Entertainment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전시]상명대(서울)도서관

-홍보자료-

70년대 한국팝 LP음반전



저희 상명대학교에서는 김종천(상명대 사회과학부)교수의 소장품을 모아「70년대 한국팝 LP음반전」을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귀 기관의 보도를 요청 드립니다.


다 음


1. 전시회 명칭:「70년대 한국팝 LP음반전


2. 전시 내용

1) 한국 LP음반 Cover 140여점

2) 전시주제 관련 자료


3. 기획 의도: 본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에 있는 김종천 교수의 오랜 동안 수집 해온 한국대중음악사의 중요한 시기로 보아지는 1970년대 한국 희귀 LP음반Cover를 전시함으로써 젊은 관객들에게는 단지 역사 속에만 있었던 한국대중음악의 한 흐름을 보여주고, 또한 그 시대의 문화를 함께 공유해 보자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문화적 체험 및 시도를 통한 구성원들 간의 소통의 문화를 형성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4. 주요일정

가. 전시회명 : 「70년대 한국팝 LP음반전」

일시 : 2008년 4월 28일(월) ~ 6월 30일(월)

나. 문화강연 : 「한국대중음악의 이해」

강연자 : 임 진 모 (한국 대중음악 평론가)

일시 : 2008년 4월 29일(화) 오후 4시

다. 음악감상회 : 「70/80 LP음악 감상회」

일시 : 2008년 5월 1일(목) 오후 6시


5. 전시기간: 2008년 4월 28일(월) ~ 6월 30일(월)


6. 장소: 책사랑 갤러리(상명대학교 중앙도서관 내)


7. 주최: 상명대학교 중앙도서관


8. 후원: (주)대신미디어


9. 문의: 2287-5194/7026 도서관 학술정보팀 민 숙 희 과장


첨 부: 전시 포스터, 안내 리플렛 등

전시작품 주요 이미지,































[관련자료-1]

음악을 통한 시대읽기


우리들 삶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음악, 특히 대중음악은 한 시대의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할 뿐 만 아니라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과거 속에 묻혀 버린 역사를 다시 이해해 볼 수 있게 한다. 문화와 소통의 시대인 21세기 지금 이 시대는 오히려 문화적 홍수 속에 저장이라는 미명 아래 거침없이 복제가 난무되고 있어 진정한 음악적 소통을 방해하기도 한다. 지금 이 시대에 있어 음악의 역할이 이런 복제라는 부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화적 메카임에는 분명하다. 그것 또한 음악이 낳는 한 문화의 단면일 수 있으니까...


그렇다면, 과거 한 시대에 있어서 음악은 과연 어떠한 모습과 역할을 가지고 있었을까? 예를 들어, 특정 1970년대부터 1980년대초 까지의 시대는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아주 중요한 획을 긋는 시대로 구분되고 있다. 음악으로 보는 그 시절 한국사회는 분명 낭만과 젊음을 대표하는 청년문화가 시작된 시대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시절 젊은 세대에게는 대중문화의 상징과도 같았던 청바지, 통기타, 음악다방 그리고 생맥주는 7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키워드로 구분되고 있다. 아는 만큼 보이고, 알고 있는 만큼 더 잘 들을 수 있듯이 음악은 시대를 읽는 방법을 제시한다. 음악을 통해 과거 한 시점의 사회와 문화를 통찰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들의 모습들을 재조명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70년대 한국팝 LP음반전」은 김종천 교수(상명대 문헌정보학전공)의 오랜 동안 수집 해온 한국 대중음악사의 중요한 시기인 1970년대 한국 희귀 LP음반 Cover들로 구성된다. 희귀LP음반을 통하여 현존하는 그 시대의 세대에게는 기억 저편의 향수를, 이 시대 젊은 세대들에게는 단지 역사 속에만 있었던 한국대중음악의 한 흐름과 함께 그 시대의 문화를 함께 공유해 봄으로써 음악을 통한 시대를, 시대를 통한 음악을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08년 4월








[관련자료-2]

대중음악에 저장된 우리의 역사


대중문화상품이라는 말로 즉각적으로 연상되는 이미지는 소비일 것이다. 대중가요 측면에서 음반과 음원이 수도 없이 쏟아져 나오고 잠깐 사이에 스타의 면면들이 바뀌는 것부터 소비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기성세대가 젊었을 때 꽤나 LP를 모았어도 현재는 소장한 앨범이 거의 없는 것이나 젊은 세대가 수천 곡을 MP3 다운로딩해도 언제 그랬냐는 듯 삭제하는 것도 음악청취가 결국은 소비라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잠시 유행하다가 결국은 잊혀지고 만다는 의미에서 대중음악을 오랫동안 유행가라고 홀대해왔지만, 그것이 반드시 망각의 덫에 빠지는 것만은 아니다. 희미한 기억을 넘어 우리 가슴에 추억과 그리움으로 남아 있는 노래들도 많다. 근래에는 대중적인 것도 고급문화처럼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는 반성이 확산되면서 대중문화를 소비 아닌 저장으로 연결하는 경향도 생겨났다. 대중가요도 분명 저장이란 덕목을 갖는다.

저장은 소비자의 취향과 기질에 따른다는 점에서는 개인적이기도 하지만, 대량복제와 미디어 환경과 결부되어 20세기를 수놓은 대중음악은 우리가 살아온 근세사를 그대로 반영한다는 점에서 큰 덩어리의 저장물이다. 거기에는 우리가 살던 사회의 풍속은 물론, 당대의 사회와 음악가의 상호작용이 반영되어 있다. 일례로 ‘전선야곡’은 한국전쟁이 아픔이 살아 숨쉬며, ‘물레방아 도는데’로는 도시화에 의한 이농(離農) 현상을 읽을 수 있으며 ‘아니 벌써’에는 1970년대 청춘의 도약이, ‘교실이데아’에는 1990년대 공격적 젊음의 전복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무수한 시점 속에서도 대중음악의 전성기라는 1970년대가 지닌 역사적 의미는 거대하다. 이 시기의 대중음악은 경제성장과 정치적 억압이라는 빛과 그림자가 서려 있어서 시대적 의미망이 각별하기 때문이다. 당시 음악은 긴장감이 넘쳤고, 즐거웠으며 또한 창조적이었다. 그 노래들에는 지금의 기성세대 가슴에 저장된 수많은 희로애락 정서의 편린들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소수 장르가 독점하는 지금과 달리 트로트(남진 나훈아 이미자), 포크(송창식 이장희 양희은 김정호), 스탠더드 팝(패티김), 록(신중현, 산울림), 펑키와 소울 그리고 국악 등 다채로운 스타일이 쟁패해 음악적으로도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기였다. 1970년대를 현재 대중음악의 귀감으로 기술하는 이유이다.



이번 1970년대의 희귀 LP음반 전시는 바로 이러한 음악가의 다채로운 실험과 도전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하는 소중한 기회라고 할 것이다. 현 시대가 대중음악이 소비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음을 안다면 가치는 더욱 상승한다. 다시 한번 음악은 결코 소비가 아니라 저장임을 읽는다. 좌절에 울고 솟아오르려는 기대에 부풀고, 긴장으로 떨고 순수로 설레던 시대의 저장이다.

2008년 4월

임진모(대중음악평론가 www.izm.co.kr)





[관련자료-3] 주요 전시이미지


김민기

친구

대도레코드, 1971.10.21












양희은

아침이슬 : 양희은 고운 노래 모음

유니버살 레코드, 1971.9














맷돌

밝은 노래 모음(실황음반) / 사회 : 이백천

유니버살 레코드, 1972.11.15













산울림

아니벌써 ; 불꽃놀이 ; 문 좀 열어줘 :

〔산울림 1집〕

서라벌 레코드, 1977.12.15














이정선

섬소년 ; 오직 사랑뿐 : 이정선 제 1집

지구레코드, 1976.9.30














양희은

불나무

성음, 1972.9.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