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늑대
팔리 모왓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에는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늑대, 지구상에서 거의 멸종해버린 그 늑대에 대한 오랜 편견들은 이렇다. 포악하고 잔인한 킬러, 사람을 해치는 야수, 음흉하고 사나운 짐승 등등. 가만히 생각해보면, 실제로 늑대를 접촉해보지 않은 나 같은 사람이 특별히 늑대를 두려워할 이유는 없다. 인간의 정복욕에 의해 만들어진 이와 같은 속설들이 조금이나마 허물어지게 만든 사람이 다름 아닌 <울지 않는 늑대>의 저자, 팔리 모왓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다.


“늑대는 먹이가 되는 생물종의 장기적인 안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인류에게 위협이 되지 않으며, 가축에게 입히는 손해는 아주 적은 정도이며, 대개의 경우 인간의 거주지나 농업 시설 가까이에는 살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것이 늑대에 관한 문제의 ‘진실’이다. 우리는 늑대의 유죄를 선고할 때 사실이 아니라 우리의 의도적인 잘못된 인식에 근거를 두었다. 포악하며 무자비한 킬러라는 신화화된 이미지는 사실상 우리가 던진 우리 스스로의 ‘그림자’일 뿐이었다. 우리 자신의 죄 때문에 희생 늑대를 만들어낸 것이다.”


픽션이 아니냐는 논란이 꾸준히 있을 만큼 이 책의 내용은 흥미진진하고 놀랍다. 늑대에 의해 순록의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는 사냥 협회의 주장을 입증하고자, 캐나다 정부는 저자인 모왓 소위를 홀로 툰드라 불모지대로 보낸다. 물론 저자가 현지에서 늑대와 생활하며 확인한 바에 의하면 순록의 개체 수 감소는 늑대에 의한 마구잡이 살육이 원인이 아니라, 순록 사냥 애호가의 수가 순록 수의 다섯 배 정도로 늘어났기 때문일 뿐이지만.


늑대의 배설물을 연구하고 나서 늑대들과 똑같이 쥐를 먹다가 에스키모들로부터 미친 사람 취급을 받는다든지 늑대인줄 알고 며칠간 두려움에 떨던 대상이 썰매 끄는 개일 뿐이었다든지 하는 에피소드들에서 드러나는 유머러스함보다도 더 읽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조지와 앤젤린, 앨버트 아저씨 등 늑대가족의 놀랍도록 평화로운 일상생활에 대한 묘사이다. 늑대굴 옆에서 생활하는 저자를 이웃사촌 정도로 여겨 평소대로 생활하고, 지극히 절제된 사냥과 새끼 돌보기에 힘쓰는 가족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죽고 죽이고 탐하고 빼앗고 언제나 싸우는 존재는 늑대가 아니라 인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늑대 이야기 말고도 불모지대에서의 생활, 에스키모들과 교류해 나가는 과정, 정부 관료와 제도에 대한 풍자적인 비판 등도 덧붙이는데 그 재미가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게 한다. 저자의 이런 자조적인 유머가 문명 맹신자이자 자연 파괴자인 우리 스스로에 대한 풍자라는 견해도 있다.


어쨌든, 사냥 면허세 수입이 늘어나길 바랬던 캐나다 정부는 수많은 늑대를 학살했고 덕분에(?) 거의 모든 종의 늑대가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다. 비단 늑대만이 이런 처지에 놓인 것이 아니란 점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학살의 죄를 묻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인간이 개입한 후, 조화로운 생태계가 어떻게 파괴되어가는지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보면 스스로의 생존을 위태롭게 만드는 어리석은 우리의 모습에 두려움이 느껴질 정도이다. 주로 가진 자들의 이익을 위해 파헤쳐지고 살육당하는 자연에 대해 ‘그대로 두는 지혜’가 발휘되어야 한다. 나중에 우리가 꿈꾸던 세상이 왔을 때, 지나친 문명발전과 전쟁으로 인한 폐허 대신 맑은 공기에 숲이 우거지고 동물들이 뛰어다니는 세상이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상상도 덧붙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