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마이클 매커디 판화, 김경온 옮김 / 두레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숲을 보며 나무 한 그루를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무 한 그루가 숲을 이룰 것을 상상하는 이는 더러 있다. 아니, 제법 있다.  

하지만 그것이 내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 이는 아마도 엘제아르 부피에가 유일한 사람일 것이다.   

 

어디선가 들어본 듯한 이야기였다. 누군가가 좋은 예화로 쓰기 위해 만들어낼 법한.  

그래서 한번쯤 봐두어 좋을 그런 이야기.

그러나 이 안에 실제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 끝까지 책을 놓을 수 없게 하는 가장 완벽한 트릭이다.  

 

그는 단순히 나무 한그루로 숲만 이루어낸 것이 아니다. 

그는 자연과 사회를 바라보는 기준을 허물었고 소망의 지경을 확장시켰다. 

장 지오노가 부피에를 통해 우리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비단, 자연과 문명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이 전부가 아닐 것이다.  

독자 스스로가 찾기를 원하는. 또 책이 원하는 바는 이것이 아닐까? 

"바로 당신이 나무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나무로 살아갈 때 이 사회는 진정한 숲이 된다. 

생기없던 땅에 생명을 상징하는 물이 흐르고, 

인적드문 땅에 웃음소리가 들리고, 

마른 먼지뿐이던 땅에 온갖 들꽃들과 벌 나비들이 깃드는 그런 숲이 되는 것이다. 

불과 1개월, 1주, 엊그제 일어난 사건들이 하루밤 하루낮 사이에 잊혀지고.. 

사건 속 사람들의 애타는 마음은 달래주는 이 하나없이 나날이 바짝바짝 타들어간다. 

결국 메마른 사람들이 또 다른 메마른 가슴을 낳고, 또 또 그렇게 되풀이. 

 

책을 보며 내내 생각했다. 

나부터 나무가 되자.  

너와 나 한그루 나무가 되면 어느새 숲이 되어 있지 않겠는가. 

(조동화 시인의 '나하나 꽃 피어' 패러디 이다.^^ ) 

   

이 사회는 소망이 있다. 나무가 되려는 이들이 있는한. 

용산의 사람들, 화왕산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 또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울고 웃으며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는 아직 소망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