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창업가 바이블 - 전 세계 창업가들의 27가지 감동 스토리
다니엘 아이젠버그 & 캐런 딜론 지음, 유정식 옮김 / 다산북스 / 2014년 8월
평점 :
하버드
창업가 바이블
이런
불황기에 창업에 대한 책이 나온다는 것이 희안하기도 했지만,
이런
시기에 창업을 한다면뭔가 독특한 아이디가 있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도 있었다.
대학의
name
value가 주는
믿음은 이제 없다.
대학도
기업과 같다고 생각하기에 별다른 기대는 하지 않았다.
다만
창업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기술했는지가 더 중요했다.
책을
펴면서 눈에 띈 단어는 민노베이션이었다.
“민노베이션
(Minnovation)이라
칭하는 것을 통해서도 많은 가치가 창조될 수 있다.
민노베이션이란
기존 아이디어를 살짝 비튼다는지,
직관에
반하는 방향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쉴 새 없이 변형해본다든지,
작은
범위 내에서 제품을 수정한다든지,
아니면
장애물을 극복하고 시장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몰아붙일 능력이 출중한 환상적인 팀을 구성하고 리드한다든지 하여 비범한 가치를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잡스로
인해 우리는 뭔가 특이한 것을 바라는 현상이 팽배해있다.
하지만
여기서 언급하는 민노베이션처럼 생활에서 작은 변화도 혁신의 일종이라 생각할 수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꼭
달라야만 성공한다는 생각도 우리 뇌리에서 이제 좀 벗어던질 떄도 된 듯 싶다.
민노베이션을
언급하면서 바로 들어간 이야기가 제너릭 카피에 대한 이야기다.
달리
표현하자면,
제약복제(?)일까?
특허가
끝난 약의 화학성분을 분석해서 같은 약을 만들어내는 약말이다.
우리나라
제약사가 대부분 제너릭 카피 약이 많기는 하지만.
저자는
이런 질문을 던진다.
“1달러를
혁신가에게 투자할 것인가?
창업가에게
투자할 것인가?”
아마도
대부분 창업가가 아닐까?
혁신가라하면
웬지 모르게 시간이 걸릴 것 같으니까.
당장의
수입을 얻기 위해 창업가라 할 것 같다.
그럼
혁신가는 돈벌이는 못하는 사람인가?
여기에는
각자의 판난의 몫이니 일단은 개개인의 몫으로 돌리기로 한다
.
저자는
창업가 정신이 불황기 때 빛을 발휘하는 이유에 대한 일리 있는 해석을 언급한다.
하나,
기존의
경쟁자들이 덜 붐비는 시장으로 떠나가기 때문이며,
다른
하나는 경쟁자들이 떠났기 때문에 신규 진입자들이 인력,
기업,
부동산
등의 자산들을 싼 가격으로 취할 수 있다는 점이며,
세
번째는 늘어나는 실업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사업으로 독립하는 수밖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불경기 때 창업하면 가장 치열한 벤처기업들만이 인내력과 검약 정신을 배양하여 미래의 경기 침체에 대비하기 위한 예방주사를 맞을 수 있고
경쟁력있는 가치를 고객에게 제안함으로써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뭐 이런
말을 누가 모를까 싶다.
알지만
행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실제
사업을 하는 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불황과
활황의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한다.
불황기를
버틸 수 있는 자금을 활황기 때 모으기 힘들다는 이야기이다.
그냥
버틸려고 수입을 창출하는 것은 아닐텐데 그만큼 사업을 하기 점점 어려워 진다고 들렸다
.
그럼
창업가가 경험하는 역경에는 무엇이 있을까?
저자는
이런 말을 했다.
창업가가
경험하는 역경은 첫번째 역발상적인 아이디어로부터 비범한 아이디어를 창조하고 획득하는 과정에 포함된 '내재적
어려움',
불완전한
환경 때문에 대부분의 창업가들이 직면하는 '외재적
곤경',
심각한
사회적 문제들이 잔뜩 쌓인 곳에서 발생하는 '우발적인'
어려움의
세 가지 역경이다.
이런
역경을 겪고 일어서는 것이 진정한 창업가가 아닐까?
나중에
사후판단편향이라는 말이 나왔다.
이른 꽤
의미 있는 뜻이라 생각한다.
“행동과학자들은
사람들이 얼마나 자주 사후 판단 편향(Hindsight
Bias)을
범하는지 이야기 한다.
사후
판단 편향이란,
확률이
낮다고 예측했던 사건이 발생하고 나면 그 사건을 확실했던 것으로 (확율이
거의 100%에
가까웠던 것으로)
생각했었다고
잘못 기억하는 오류를 말한다.”
어려움이
있던 당시의 판단을 유보한 후 만약 일이 발생을 하면 사후판단성향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일인데 어찌할까 싶기도 하다.
창업이란
말을 하기 어려운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업에 대한 이야기는 꾸준히 나온다.
업종과
시장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고 창업을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만,
창업
이후 상황의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이 어떤지에 따라 롱런하느냐 그렇지 않으냐의 차이일 뿐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