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섹스앤더시티’의 캐리와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의 줄리안의 곁에는 언제나 다정다감하면서도 든든한 '게이' 남자친구가 있다. 그녀들이 남자들에게 상처입고 슬퍼할 때면, 게이 남친은 같은 남자로서 ‘그’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과 말을 쉽게 이해하면서도 그녀들과 같이 슬퍼하고 흥분하며 그녀의 상처 입은 마음을 부드럽게 어루만진다. 

작가 알랭 드 보통은 꼭 그런 게이 남친 같다. 사랑에 상처 입은 여자의 마음 속을 속속들이 어루만지고,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 같던 남자의 행동을 모조리 해석해 주기 때문이다. 그의 유일한 흠은, 지나치게 유식하다는 것이다. '왜 저렇게 밖에 행동하지 못하는 그를 나는 사랑할 수 밖에 없는 건지, 과연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등의 난해한 질문에도 그는 막힘없이 답한다.  

직접 그림까지 그려가며, 철학, 정신분석학 등의 어려운 이론도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는 알랭 드 보통. 그와 함께 수준 높은 지적 유희를 즐기다 보면, 사람 그리고 사랑은 원래 그런 것이라고 자신도 모르게 스스로를 위안하게 된다. 

지금 혹시 사랑하는 ‘그’ 또는 ‘그녀’의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미칠 것 같다면, 그의 소설 두 권을 차례로 읽어보자. 그 또는 나 중에 어느 누가 특별히 나빴거나 우리가 서로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랑은 원래 그런 법이라며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소설 <우리는 사랑일까>는 성공한 30대 남자 ‘에릭’와 아직 20대인 ‘앨리스’가 등장한다. 이 둘은 서로 사랑하지만 사랑이라는 권력 관계에서 끊임없이 삐걱댄다. 나란히 누워서 손가락을 만지작거리며 앨리스가 “당신이랑 이렇게 있으면 정말 편안해요.”라고 고백하면, 에릭은 “오늘 저녁 몇 시에 본드 영화를 하죠?”라는 강력한 질문으로 권력의 우위를 점하는 식이다. 

'무자비하게 대화를 회피하고 침묵을 지키며 약속을 어기는’ 에릭과 그의 전화를 하염없이 기다리고 그와 어떻게든지 대화를 나누고자 눈물겹게 노력하는 앨리스의 모습은 그리 낯선 풍경이 아니다.  

이런 관계에 대해, 알랭 드 보통은 ‘나쁜 남자는 이제 그만 만나고 자신을 더욱 사랑하라’는 뻔한 말을 늘어놓지 않는다. 그 대신, '이 남자는 그저 자연주의자일 뿐’이라는 독창적인 해석을 내놓는다. 알랭 드 보통은 '자연주의자' 에릭과 헤어지고 필립으로 부터 저녁 초대를 받은 엘리스가 기쁘고 동시에 겁내는 이중적인 속 마음도 예리하게 잡아낸다.  

남과 여, 이 둘의 마음을 속속들이 파헤쳐 열어 보이는 알랭 드 보통. 그의 소설을 통해서 우리는 깨닫게 된다. 남과 여 그들은 ‘화성인과 금성인’ 같은 외계인이 아니라는 것을. 어느 누가 특히 나빠서나 서로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서로 조금 씩 다른 사람일 뿐이며, 그런 상황에서는 그렇게 행동한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이라고.

그의 전작,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도 남여의 숨겨진 심리를 파헤쳐 보여주는데, 여자보다는 남자의 심리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주인공 남자는 한 여자를 미치도록 사랑하면서도 스스로도 어이없는 행동을 되풀이하고 결국 그녀를 잃는다.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유지태 역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당신에게 추천할 만한 소설이다.  

이처럼, 알랭 드 보통의 작품에는 남과 여라는 성벽을 넘어서 한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케 해주는 힘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