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이라는 뼈 문학과지성 시인선 369
김소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른다 / 김소연


꽃들이 지는 것은
안 보는 편이 좋다
궁둥이에 꽃가루를 묻힌
나비들의 노고가 다했으므로
외로운 것이 나비임을
알 필요는 없으므로


하늘에서 비가 오면
돌들도 운다
꽃잎이 진다고
시끄럽게 운다


대화는 잊는 편이 좋다
대화의 너머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외롭다고 발화할 때
그 말이 어디에서 발성되는지를
알아채기 위해서는


시는 모른다
계절 너머에서 준비 중인
폭풍의 위험수치생성값을
모르니까 쓴다
아는 것을 쓰는 것은
시가 아니므로


‪#‎시읽는_신학도‬


*이 시는 시론을 담고 있다. 시란 무엇인가. 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로 우리를 데려간다. 황진이가 동지날 기나긴 밤을 잘라내 그리운 님이 오시는 날 펴서 긴 밤을 님과 함께 보내겠다고 노래했을 때, 그녀는 세계를 극복한 시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시인은 밤도 잘라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시는 조선 후기에나 나타나는데, 그제서야 사람들은 자연의 지배를 벗어나 세계를 자신의 상상력으로 극복하는 사상을 갖게 된다. 황진이는 몇 백년 뒤의 사람들이 가질 생각을 미리 가졌던 것이다. 그녀는 조선 중기 사람이지만, 조선 후기를 산 것이나 마찬가지다. 시란 무엇인가.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세상, 우리가 알 수 없는 사상을 시인이 자신의 언어를 유혹하고, 비틀고, 고문하고, 학대하고, 간청하고, 호소해서 얻어내는 새로운 세계이다. 그러니까 이 시인의 말대로 모르는 걸 쓰는 게 시가 맞다.


-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굽이굽이 더디게 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