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왕자 책읽는 가족 2
강숙인 지음, 한병호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과 며칠 전에 가야의 건국 이야기가 담긴 책을 읽었더랬다. 근데 며칠을 사이에 두고 읽게 된 책이 신라의 멸망 이야기가 담긴 책이라니, 참 아이러니했다. 한 나라의 건국과 또 다른 나라의 멸망을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지켜보는 것이란, 참 묘한 느낌이었다. 확실히 두 책의 느낌은 달랐다. 그것은 점점 차오르는 달을 볼 때와 점점 줄어드는 달을 볼 때의 느낌과도 같다고나 할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책을 통해 우리 역사에 깊이 빠져들게 했다는 것. 내 머리 속의 지우개라도 있는 것 마냥,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시험을 치고 나면 머릿속이 하얘지며 아무 것도 남지 않던 교과서 속의 역사들과 달리. 재미있는 이야기로 들려주는 역사는 오히려 내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며, 내가 역사 속의 주인공이 되어 역사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특히나 책 <마지막 왕자>를 읽으면서 놀라웠던 것은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역사적 사실들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다는 것이었다. 이 책은 역사 교과서가 아닌 역사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역사 교과서에서나 나올 법한 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가득 담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밑줄을 긋고 싶은 걸 꾹 참아야했다. ‘이 책은 교과서가 아니야’라는 말을 마음속으로 되뇌며 말이다. 하지만 책을 다 읽은 후 다시 마음을 먹었다. 이 책은 단순한 소설책이 아니라, 역사책이라고. 다시 이 책을 읽으며 연필로 이 책 곳곳에 밑줄을 그으며 역사적 사실들을 내 머릿속에 다시 각인시켜야겠다고 말이다.  

 

 

안민가

 

임금은 아비시고,

신하는 사랑하실 어미시라

백성을 즐거운 어린 아이로 여기시면

백성이 그 은혜와 사랑을 알리이다.

구물구물 사는 백성들 이를 먹여 다스리니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리이까’ 할지면

나라 안이 유지되리이다.

아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는 태평하리이다.

 

- <마지막 왕자> 중에서 -

 

 

학교에서 배울 때는 어렵기만 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역사적 사실들마저도, 이 책 안에서는 생생한 이야기로 살아났다. 제목을 외우는 것만으로도 벅차던 ‘안민가’도 책 안에서는 애절한 노랫말이 되어 가슴에 새겨졌다. 가요를 들을 때처럼 한 구절, 한 구절을 음미하며 빠져들게 되었다. 우리가 지겹게 외우는 역사적 사실들. 이것들이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내가 21세기를 살면서 보고 듣는 일들처럼, 책 속에 담긴 역사들은 그 당시 신라의 삶이라는 것을 말이다.

 

이 책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막내 아들인 선의 시선을 통해 그려져 있었다. 하지만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신라의 마지막 왕이었던 그의 형, 마의태자가 이 책의 주인공이었다. 신라를 너무나 사랑했던 신라의 마지막 왕자, 마의태자. 그는 모든 부귀, 영화를 마다하고,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대로 신라에 대한 사랑을 지키며 끝까지 신라의 왕자로 남았다. 어쩌면 저럴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신라에 대한 곧은 사랑이었다.

 

작가는 마지막에 신라의 마지막 왕자, 마의 태자의 곧았던 사랑의 징표를 직접 찾아가 보라고 권하고 있었다. 용문사에 있는 은행나무가 바로 그 징표. 천년이 넘게 한 자리에 서 있다는 이 은행나무에 대해 찾아보니 두 가지 설이 있었다. ‘신라의 고승 의상대가가 꽂은 지팡이가 뿌리를 내렸다는 설도 있다’는 설과 ‘마의태자가 나라 잃은 슬픔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는 길에 심었다’는 설. 하지만 난 마의태자가 심었다는 설을 더 믿고 싶었다. 그리고 다음 가을에는 용문사에 가서 직접 이 은행나무를 만나봐야겠다고 다짐했다. 천년이나 한 자리에 서서 많은 것을 보았을 나무. 이 나무에게서 신라의 이야기를 좀 더 들을 수 있길 기대해본다.

 

내가 강숙인 작가님을 처음 만나게 된 것 <운영전>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운영전>이 강숙인 작가님을 알게 하고 기억하게 한 책이라면, 이 책 <마지막 왕자>는 강숙인 작가님한테 푹 빠지게 한 책이었다. 200페이지도 안 되는 책 한 권에 어쩌면 이렇게도 많은 신라 역사의 조각들을 담아낼 수 있으신지, 놀랍기만 했다. 이제 난 그저 바랄 뿐이다. 강숙인 작가님이 앞으로도 더 많은 역사 소설들을 써주시길. 그리고 알아주시길 바란다. 역사적 사실이라는 뼈대에 더해지는 작가님의 풍부한 상상력들을 통해 떠나는 우리 역사로의 시간 여행이 더 없이 즐겁다는 것을.

 

 

 

- 연필과 지우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