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11 - 3부 3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나남출판) 11
박경리 지음 / 나남출판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이 살기 힘든 세상이라고는 하지만 토지를 읽다보면 그래도 요즘은 살기 좋은 세상이라는 생각이 들게 된다. 그리고 나를 위해 큰 도움을 주는 나라는 아니라 할지라도, 내 나라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것이 나에게 얼마나 큰 울타리가 되는지 그 소중함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과거 나라 없는 우리 민족들은 억울한 대우를 받아야 했고, 또 억울한 죽음을 당해야 했다. 자유가 없는 삶만큼 답답한 것이 또 있을까.

 

그 와중에 많은 이들이 세상과 연을 끊었다. 자의에 의해서 그리고 타의에 의해서 세상을 등지고 만 것이다. <토지>의 시작과 함께 그들의 성장과 변화를 지켜보았던 이들의 죽음인 만큼 이들의 죽음은 안타깝게 여겨졌다. 누구하나 편안한 죽음이 아니었기에 더 그랬다. 다른 세상에서 살았더라면, 빼앗긴 나라가 아니라 내 나라에서 살았더라면 조금은 더 행복했을 이들이기에 그랬을 것이다.

 

 

‘더러운 짐승 같은 년!’

 

마음속으로 욕지거리를 하면서, 그러나 홍이는 화내지 않았고 실실 웃기만 했던 것이다. 왜헌병한테 끌려가서 죽을 만큼 당한 고문과 정신적 학대를 받았던 옛일을 홍이는 결코 잊지 않았던 것이다. 경찰서에서 풀려 나왔을 때

 

“앞뒤 재가면서 기어라 하면 기고 서라 하면 서고 눈물 흘리라 하면 흘리고... 눈을 부릅뜨다가 뺨따귀 하나 더 맞는 것이 얼마나 바보짓인가 그걸 깨달았소.”

 

누우런 나뭇잎이 뚝, 뚝, 떨어지는 거리에서 홍이는 그런 말을 했었고, 연학은

 

“잘난 말 몇 마디 하는 것, 그건 아무짝에도 못 쓴다. 바보 시늉, 미친 시늉, 뭣이든 빠져나오는 게 젤이제. 싸움이란 그래야 이기는 법이거든. 감정 때문에 힘 빼는 것, 그것같이 어리석은 일은 없다.”

 

- <토지 3부 3권> 중에서 -

 

 

죽음으로 세상을 떠난 이들은 그나마 모든 것을 잃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차마 죽음을 택하지 못한 이들의 삶은 살아도 산 것이 아니었다. 죽지 못해 살아가는 이들. 이들의 삶은 더 고되고 애달았다. 눈 감고, 귀를 막고, 입을 다물고 살아가는 이들. 이들에게 감정은 사치였다.

 

 

 

- 연필과 지우개 -

 

 

 

 

 

제3부

최서희 일행이 간도에서 귀국한 다음 해인, 1919년 가을부터 1929년 광주학생운동까지 약 10년여의 세월을 다루고 있다. 주된 공간 배경은 1920년대 서울, 진주, 만주 등으로 점차 확대된다. 특히 일제에 의하여 추진된 자본주의화와 경제적 억압이 도시를 중심으로 포착되고, 여기에 이상현을 중심으로 3.1운동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지식인 집단의 갈등과 혼란이 엮어진다. 조준구에 대한 복수를 완결한 서희의 허무감, 김환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의 의병활동, 송관수를 중심으로 한 형평사 운동, 간도와 만주의 망명객들의 생활, 이상현과 기화의 불륜, 임명희와 조용하의 결혼이 그려지면, 임이네와 용이, 김환 등은 죽음을 맞이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