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라질에서 온 소년들 ㅣ Medusa Collection 3
아이라 레빈 지음, 김효설 옮김 / 시작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영미권에서는 꽤 유명한 작가로 알려진 아이라 레빈의 소설.
나치의 부활이라는 심각한 주제임에도 중간중간의 위트 때문에 몇 번을 킥킥대며 웃었다. 소설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도 놓치지 않으면서 재미라는 면에서도 부족함이 없으니.. 거장은 거장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실존인물로 히틀러의 측근이자 아우슈비츠에서 잔인한 생체실험을 한 걸로 유명한 멩겔레 박사의 악독함과 잔인함 그리고 그 철두철미함이 때로는 폭소를 자아내기도 한다.
자신의 숙적인 나치 사냥꾼 리베르만을 제거하기 위해 위장을 하고 미국식 영어로 발음연습을 하는 모습.. 땡큐 땡큐 땡큐를 연발하며 칼로 찌르는 연습.
고속도로를 최고속력으로 달려가면 제시간에 갈 수 있다며 좋아하더니, 이내 미국에서는 모두들 제한속도를 넘겨 쌩쌩 달리는 걸 보고 미국놈들 어쩌고 하며 욕하며 당황해하는 모습. 멩겔레가 염두한 최고속력은 고속도로 제한속도였다니 ㅋㅋ. 정말 그 시대의 독일인다운 생각으로 보여 폭소.
이 책에는 이런 식으로 의외로 사람 배잡게 하는 요소들이 곳곳에 있다. 나치전범들을 법정에 세우는 나치 사냥꾼 리베르만은 언제나 모든 일들을 돈과 연관 짓는다. 그 스스로가 너무나 궁색한 처지이기에..
묘사와 대화들이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워 소설 읽는 재미를 더욱 배가시킨다는 느낌이 들었다. 꽤 오래된 소설이지만 지금의 작가들보다 더 세련되 보이며.. 특히 역사라는 주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느낄 수 있는 부분도 많았다.
나치라는 소재가 다소 오래되었거나 진부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오히려 역사와 사회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읽혔다. 작가가 말하려는 것도 단순히 나치나 히틀러에 관한 것이 아니라.. 오늘을 만들어가는 주체가 우리라는 점을 전하고 싶은 듯 하다. 구성과 스토리, 묘사들도 치밀하여 제대로 된 소설 한권을 오랜만에 읽은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