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 나를 사랑하기로 결심했다 - 완벽해 보이지만 모든 것이 불안한 그녀의 인생 새로고침
숀다 라임스 지음, 이은선 옮김 / 부키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숀다 라임스의 고백, 스스로를 '늙은 거짓말쟁이'라고 표현하는 부분이 재미있다.
우리도 거짓말을 하려고 하는것이 아니라 기억이 아름답게 혹은 더 아프게 기억되려고 하는게 있어서 거짓말 아닌 거짓말을 하는지도 모른다. 나 역시 기억력이 형편없기에 생각해본다. 나의 기억은 사실 그대로 기억하고 있는걸까?

어릴 적, 숀다 라임스는 거짓말하는 아이였지만 결국 지금의 숀다 라임스를 만든 건 다름 아닌 바로 그 '거짓말'이었다고 한다. 수녀들은 혼을 냈던 그 거짓말이 작가가 되는데 유용한 재능이었을 줄이야.
내 아이의 쓸데없어 보이는 행동들도 혹시 모두 재능인가 하는 생각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숀다 라임스는 가족들의 믿음 없이도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나는 숀다 라임스의 드라마를 본 적이 없지만 워낙 유명했던 미드였기에 제목은 알고 있었다. <그레이 아나토미> <스캔들>의 작가 겸 제작책임자, <범죄의 재구성>의 총괄 PD. <프린세스 다이어리 2> <도로시 댄드리지>의 각본을 쓴 숀다 라임스, 그 외에도 그녀의 이력을 보면 어마어마하다. 그런 숀다 라임스가 알고 보니 나와 같은 과의 사람(?)이었다니...

 

그랬던 숀다 라임스가 변하게 된 건, 큰언니 들로즈가 한 6마디 때문이었다.

 

너는 뭐든 좋다고 하는 법이 없지.

 

그녀의 표현대로 수류탄이 터졌다. 어느날 갑자기, 전혀 그럴 이유도 없던 그녀에게 수류탄이 터졌다.

모든 일도 다 잘되어 가고 있었고, 친구 지인도 주변에 많았고, 도무지 불행을 알 수 없다고 고백하는 숀다 라임스, 우리를 살아 있는 독특한 존재로 만들어주는 '반짝임'을 도둑 맞고 나서는 임시 휴업 상태가 되어버린 숀다 라임스.

최근의 나의 마음이었다. 이 책에게 끌렸던 이유는 이렇게 유명한 사람도 나와 같은 마음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였나 보다. 역시 책은 그 누구보다도 큰 위로가 되는 벗이다. 나 역시 분명 힘든 과정들이 있기는 했지만 잘 해결해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숀다 라임스처럼 그런 마음이 되었다. 아무것도 하기 싫고 눈물만 자꾸 흐르는.. 숀다의 고백처럼 이 모든게 시작된 이유는 너무 편해진 생활이라는 그녀의 고백처럼 나 또한 그랬는지도 모른다. 적당히 포기하고, 적당히 거절하고, 적당히 맞춰서 편해진 내 삶, 내 생활에 지쳤는지도 모르겠다.

 

나 역시 그렇게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지푸라기 라도 잡을 정신이 생겼다. 뭔가 달라져야겠단 생각도 하게 되었다. 방구석에 쳐박혀서 생각만 하고 꿈만 꾸는 몽상가 대신 실천주의자가 되어 보는거다.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지 말고 내가 살아야 할 이유를 찾기 위해서 지금 순간에 집중하여 행하여 본다고 생각하는 거다.

 여러분 가운데 일부는 자신의 꿈을 정확하게 알고 있을 겁니다.
또 다른 일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뭔지 전혀 알 수가 없어서 멍할 테고요.
사실 그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몰라도 되거든요.
앞으로 계속 걸어가기만 하면 되거든요.
계속 뭔가를 하면서 다음 기회를 노리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 되거든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완벽한 직업이나 완벽한 삶과 맞아떨어지지 않아도 됩니다.
완벽한 것은 재미없고 꿈은 현실이 아니니까요. 그냥… 저지르세요.

다트머스 졸업식 축사의 한 부분인데, 이건... 나에게 하는 이야기였다. 흠칫! 놀랬다. "여행 가고 싶다"라고 생각했을 때 신랑은 "여행은 탁! 떠나는 거야!"라고 이야기했었다. 내가 "돈이 드는데 어떻게 탁! 하고 떠나!"라며 신랑에게 이야기했었는데, 숀다 라임스도 그렇게 이야기하다니.. 생각에만 머물러 있으면 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행동으로 옮겨야 망하던 흥하던 하는 거였다. 안다. 알아. 머리는 안다. 하지만 행동으로 옮기는 게 나에겐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머리가 단순해져야겠다. 일단 저지르고 보는 성격으로 바꿔야겠다. 한 번 사는 인생인데, 그게 아닌 거면 그때 가서 후회를 해야겠다.

 

완벽한 삶을 꿈꾸지 마라

 

워킹맘이었던 숀다 라임스가 우리에게 솔직하게 말하는 현실. '다 못 한다' 모든 걸 완벽하게 해내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라고 이야기 해준다. 엉망진창인것만 같은 세상의 모든 워킹맘에게 해주는 조언이 마음에 와닿았다. 그렇지! 완벽해보이는 그녀도 집중하지 않는 일은 모두 엉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하다고 고백할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한거다.

 우리가 사는 이유.
우리가 살아있다고 느끼는 순간.
그리고 살아야 할 이유.

바로 '사랑' 이다.
우리가 잊고 있었을 뿐.

우리가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그 이유는 바로 사랑이 없기 때문 아닐까?
세상살이가 너무 힘든데, 알아주는 사람이 없고,
누군가에게 위로 받고 싶은데, 위로 받지 못하고,
일이 너무 힘든데, 알아주는 사람이 없고,
그 사람을 잡고 싶은데, 그 사람의 사랑은 이미 없고,
내 아이를 보면서 내 안의 아이가 슬픈건, 어릴적 내 부모님의 사랑이 보이지 않고,
내 마음이 이렇다고 이야기 했는데, 나를 이해해주는 사람이 없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있는데,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 없고,

숀라 라임스가 뚱뚱해진 이유?
먹는 시간이 행복했고, 뚱뚱해지는 것에 도전해서 성공적으로 살이 쪘다.

완벽해보이는 그녀가 숀다 라임스가 뚱뚱해지게 된 이유를 몇페이지에 걸쳐 써두었는데, 어쩌면 그렇게 구구절절 와 닿는지.

마음의 상처를 덮어버리는 마술 같은 비법
모든 감정들을 깊게 쑤셔넣고 먹는걸로 그 위를 덮어버리면 매끈해지는 마술같은 비법. 그 비법을  나 역시 알고 있었다.

주변에 마음의 상처에 예민해지는 그녀들이 많았다. 그런 그녀들을 보는 것이 유쾌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그 비법을 사용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의 몸은 나도 싫다. 지금의 내 몸을 사랑할 수 없다면 나도 바뀌어야 한다. 이제 숀다 라임스와 같이 무감각해지기 싫다. 더이상 썩어가지 않을 것이다. 불편이와 불안이의 엉덩이를 걷어찰것 이다. 그 어떤 일에도 도전하지 않는 몽상가는 더이상 싫다.

 스웨그를 모두 끌어모아 자뻑으로 온몸을 도배할 수 있게 되기를...

 365일 예스는 나를 위한 도전에 '예스'란 뜻이다. "좋아! 도전"

 

타인의 거절할수 없는 부탁에도 내 마음이 좋지 않다면 거절해야 한다.
난감한 대화에 거절 못하는 나에게 그녀는 거절하는 법을 설명해준다. 자신도 그러했다면서!

칭찬에 굶주렸으나 칭찬을 받으면 몸둘바를 몰라하며 부끄러워 했던 나에게 칭찬 받는 법도 설명해준다.  자신도 그러했다면서!


다이어트가 필요한 나에게 그녀가 1년에 45kg 감량한 다이어트 비결도 알려준다. 무척이나 어렵다는 단서를 붙여서.

 도전은 용기다.
태양이다.
삶이다.

 

이제는 자뻑시간에 맞춰서 사는 숀다 라임스를 보며 나도 용기내 본다. "네가 성공하는데 유일한 장애물이 있다면 너의 착각뿐이다" 숀다 라임스의 아버지의 조언처럼 적어도 나의 착각이 나의 장애물이 되게 해서는 안되겠다.

 우리는 할 수 없을 것 같은 일에 도전해야 한다.
- 엘리너 루스벨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