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는 여자 - 그리면 그릴수록 그리운 그 여자
마스다 미리 지음, 안소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에 읽은 <아빠라는 남자>(리뷰)와 함께 나온 같은 작가의 작품이다. 그래서 책 두권을 놓고 한참을 고민했다. 이전에 <냉정과 열정사이>나 <사랑후에 오는 것들>이 그러했듯이, 두 개의 작품 중 어떤 것을 먼저 읽어야 두 권 모두 만족감을 높일 수 있을까 고민스러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아빠'의 이야기를 먼저 택했고, 지금 '엄마'의 이야기까지 모두 읽은 결과 참 잘한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작가와 마찬가지로 '딸' 이라서였을까, '아빠'의 이야기는 대체적으로 "맞아맞아 우리집도 그래그래~" 하며 피식 웃다가, 또 어느 장면에선 뭐라 말을 이을 수 없게 애틋한 느낌이 반복되었다면, 이번 '엄마'편은 모두가 다 내 얘기 같고 내가 쓴 글, 나의 경험, 나의 소망 같았으며 모든 것이 내가 바라는 것들의 한 부분인 듯한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많이 반성도 했고 또 그만큼 서글프기도 했던 책이다.
 


리뷰를 쓰면서 우리들의 엄마에 관한 다른 장르의 작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검색을 해 보았다. '엄마'라는 키워드를 넣고 엔터를 탁 누르는 순간까지 머리속에 하나씩 떠오르던 것 외에도 생각보다 많은, 그리고 내가 알고 있던 작품들이 많아서 꽤 놀라웠다. 그만큼 요즘의 우리들은 우리의 엄마에 대해 여러가지 방법과 매체들을 통해 애틋해하고 감상에 젖지만, 실제로 엄마를 마주하고 대면한 순간에선 그 때의 결심이나 찰나의 감흥만큼 마음 먹은 것들을 전혀 실천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었다.

엊그제 본 미드에서 어떤 단역 배우가 말했다. "잘못할 일 만들어 이런 날에 꽃배달로 때우려 말고, 평소에 좀 잘하란 말야~" 아마도 이번 '엄마'와 '아빠' 시리즈를 보며 내가 느꼈어야 할, 그리고 우리가 깨달아야 할 가장 중요한 대목이 아니었을까 싶다. 나는 내일 해야할, 엄마가 사흘 전에 부탁 해 둔 심부름 하나를 앞두고 있다. 전화를 받던 순간처럼 귀찮음에 짜증을 부리지 않고 엄마가 더 걱정할 일 없이 완벽하게 정리해서 상황 보고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굳게 했다. 고작 닷새전에 본 엄마가 일년쯤은 못 본 듯한 느낌으로 그리운 밤이다. 명절이 지나고, 감정이 무뎌질때 쯤 참 좋은 책을 만나게 되어 다행이구나, 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