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1 - 종말의 시작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이야기의 매니아로서 11권이 출판되었다라는 소식을 듣고 역시 초판 1쇄를 산 학생이다. 그동안 11권이 나오기만을 기다리면서 시오노 나나미의 서적 들을 읽으면서 그의 문체를 파악하며 즐겁게 보냈다.그러나 11권에서는 왠지 실망감만 들었다. 차라리 이돈으로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를 읽어야 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히려 그동안 숨겨왔던 그의 방정이 드러나 버렸다. 저자가 철학을 배웠다 하면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스승과의 편지에 자신의 생각을 집어넣음으로서 웃음을 유발했을지는 모르지만.. 왠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모독한 생각이 들었다. 저자 말로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왜 고독하고 불행한 황제가 되었는지를 설명한다고 하면서.. 오히려 글속에는 그를 모독했다는 생각이 들게했다.

그리고 똑같은 내전도 카이사르와 술라의 내전과 8권의 삼황제시대의 내전과 세베루스황제의 내전은 격이 틀린것인가? 물론 그런 면이 있다. 카이사르와 술라와 세베루스 역시 각자의 목적이 틀렸다. 술라는 원로원 체제의 정비를 카이사르는 원로원 체제의 붕괴를, 세베루스는 황제등극에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내전은 슬픈 일이다. 50년 전의 6.25전쟁도 지금까지 슬픈일만 남기지 않았던가? 로마인의 눈으로 쓴다는 그의 글은 11권에서의 내전은 3권과 5권의 내전과 8권의 내전과 11권의 내전은 너무나 차이가 났다. 앞의 것의 서술은 장엄했다. 그리고는 자세했다. 그러나 11권의 내전은 그냥 쓴다는 식에, 귀찮다는 식에 서술이었다. 간단했다.

그도 황제암살에는 이제 만성이 되었다는것이었을까? 그래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있어도 서술내용은 비교적 좋았다.. 하지만 첫 부분에 긴 도입부와 저자의 약간에 이상한 생각이 책에 품격을 떨어뜨렸다. 로마인이야기매니아라면 읽어보아야 할 책이지만.. 그밖에 관심없는 사람이 읽는다고 한다면 말릴 책이다. 차라리 지루하더라고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를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시오노나나미의 글을 싫어하는 사람이 지적했듯이 글의 장르를 모호한 역사평설로 처리한것도 문제였다. 그렇기에 책에서 사실과 저자의 느낌이 모두드러난 것이 한계였다. 이 모든것이 종합되었기에 정말로 아쉬운 책이었다. 12권을 기대하면서... 이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