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년의 작가는 10살 배기의 어린 소년을 곁에 두고 자신의 소멸과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불안한 나머지 극한의 쓸쓸하고 삭막한 상황을 상정했던 것일까.  

이를테면 피폭 이후의 처참한 상황 속에 아버지와 아들을 그려넣는다, 모든 것이 황폐화되어 잠자리와 먹을거리가 없어져 같은 장소에 있다는 것만으로 상대을 의심하고 제거하려 드는. 강탈과 살인, 식인은 도처에서 일어나고 그것을 환상하는 꿈은 더욱 더 사나워져 간다는. 그들은 모진 상황 속에서도 마침내 따뜻한 남쪽해안에 도착한다는. 하지만 병의 골이 깊었던 아버지는 아들만 덩그러니 남겨둔 채 숨을 거두고 마는. 

 
스토리가 없는 책은 잘 읽히지 않는 법이다. 이 책은 스토리가 없고 단순히 어떤 상황만이 주어진다. '돌에 금이 갈만큼 추웠다.', '귀를 기울이면 귀가 아플 암흑이었다.',  '황량한 헛간 문에 못으로 박아놓은 돼지가죽, 쥐 같은 느낌이었다.', '네가 소리를 듣기도 전에 이미 네 뇌 속에 들어가 있을 거야. 그걸 들으려면 전두엽하고 구와 측두 뇌회라고 부르는 게 필요한데 너한테는 이미 그런 게 없을 거거든.', '침전물 조각 딱 하나가 유리병 안의 어떤 느린 수력(水力)의 축을 중심으로 맴돌고 있었다.', '수의에 덮인 황량한 지구는 태양을 지나 굴러갔다가 다시 돌아왔다.'는 잿빛 세상속에 놓여진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인간을 겨울 칼바람처럼 냉혹하게 그려내어 독자는 무엇 때문에 이 상황에 몰입해야 하는지 공감할 수 없는 불편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사회화된 인간은 인간의 절반도 제대로 보고 있지 못하다는 작가의 관점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게끔 그것을 익숙하게 길들인다. 폭력과 동물성을 제거한 인간들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사악이 삐죽 올라와 피폭 이후의 잿빛 황량함 보다 더한 삶을 강요하는 상황들이 신문지상의 짜투리에서 일어남을 일깨운다, 보다 거대한 어처구니도 명분을 통해 정의를 위한 전쟁으로 탈바꿈하는 상황을 이미 역사를 통해 배웠음을.  

 

불은 파괴와 문명의 상반된 에너지다. 아버지와 아들은 생뚱맞게도 늘 불을 운반한다고 재잘댄다. 그리고 그것을 아들에게 경각시킨다. 아들은 다시 낯선 상대에게 그것을 알고 있는지 질문한다. 피폭은 불의 과잉이다. 그것은 인간의 문명을 절멸시킨다. 불은 최소한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문명은 따뜻한 남쪽을 향해 다음 세대로 전수되어야 하는 것이다. 깜부기불이 잉걸불이 되도록 해야 하지만 그것이 하늘로 터져 올라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카트, 방수포, 담요, 물, 권총, 통조림은 이 책에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다. 커피, 자동차, 아파트, 학교, 연봉, 연예인, 섹스는 현시대에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단어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가 손을 이끈 곳엔 딱 그것과 유사한 정취가 흐르는 길(로드)이 있다. 아버지와 길에서 만난 노인과의 대화는 삶에 대한 생각의 곱창같다. 『로드』는 2007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