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공룡 스페셜에디션
올리브 스튜디오 글.그림 / 킨더랜드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EBS에 방영된 한반도의 공룡이라는 faction 다큐가 ‘기준’이라고 소리치자, 여기에서 어린이용 그림책 ‘한반도의 공룡’과 영화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이 뒤를 잇는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영상물에 대한 평가는 대단히 우호적인듯하다.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이의 손에 이끌려 근 5년 만에 영화관을 찾았었다. 수준 높은 CG에 가슴 벅찼고, 점박이의 가족과 ‘푸른눈’의 죽음에 눈물이 흐를뻔한 고통?을 겪기도 했다. 다만 스페셜 에디션으로 출간된 ‘한반도의 공룡’이라는 글과 그림으로 된 책에 대해서도 이런 호의적인 평가가 가능한가는 어린이용 서적들이 가져야 할 요소인 시제, 관점, 운율, 스토리라인 등이 조화로운가 하는 것으로 대답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이 네 가지 요소들 모두가 엇박자를 낸다. 이 책이 영상의 CG를 그대로 가져온 것이어서 그림으로 족하다고 말하면 더 이상 왈가왈부, 가타부타할 것이 못되지만, 읽는 책으로서 접근한다면 좋은 평가는 내랄 수 없다. 이것은 한반도의 공룡을 사랑하는 아이의 아버지로서 절절한 안타까움 때문이다.

 

‘8천만 년 전 공룡들이 살던 백악기 한반도에는 건기와 우기 두 계절만 있었습니다. 햇볕만 내리쬐는 건기에는 많은 공룡들이 물을 찾아 먼 길을 떠납니다.’ 한 페이지에 두 개의 시제가 혼동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를 넘기면 ‘먼 길을 걸어 친타오사우루스들이 물을 찾았습니다.’ 라고 되어있다. 현장감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매 페이지마다 친밀감이 없는 시제들이 형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읽기에 적당한 운율도 없다. ‘8천만 년 전 공룡들이 살던 백악기 한반도에는 건기와 우기 이렇게 두 계절만 있었습니다. 햇볕만 내리쬐는 건기에는 수많은 공룡들이 물을 찾아 머나먼 길을 떠났습니다. 먼 길을 걸어온 친타오사우르스들도 드디어 물을 찾았습니다.' 로 수정하면 보다 낫지 않을까.

 

‘몸길이 13미터의 거대한 맹수 타르보사우루스 점박이입니다. 15살의 점박이는 한반도에 사는 공룡들 중 가장 무서운 공룡입니다. 아주 세게 무는 힘과 강한 꼬리를 갖고 있어 누구도 쉽게 빠져나갈 수 없습니다.‘ 다음 페이지를 넘겨보면 ‘점박이는 힘껏 잡은 먹이를 암컷 타르보사우루스에게 자랑합니다. 이것은 사랑의 선물입니다.’ 생뚱맞다. 1페이지에서 7페이지까지만 살펴보아도 관점과 스토리라인이 억지스럽게 연결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듣는 이나 읽어주는 이에게 치명적이다. 멋진 삽화에 어울리는 잘 다듬어진 글을 개정판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