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6년 경에 초판이 발행된 책이 이제사 다시 관심을 받게 된 것은 드라마의 재미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드라마는 줄이 끊어져 산을 넘어간 연처럼 이미 잡을 수 없을만큼 날아가버린 상태이다. 채윤이 출상술을 부리며 하늘을 나는 순간 현실의 연결고리는 단절되었고, 채윤은 이미 과거도 아닌 무림 속으로 세종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어서 따르는 집현전 학사들과 끄트머리에 등장할 한글까지도 극작가의 내공을 넘은 신공 무리수에 엮여 줄줄이 끌려나올 심산이다. 이 책이 한글창제에 관련된 비화들을 소설화한 것임에도 그것을 기초로 한 드라마는 초반의 진중함을 잊어버리고 경망한 소품들을 집어넣어 소설이 지향하고자 했던 주제를 일거에 탈탈 털어버리는 과욕을 부린다.

 

북방의 전쟁에서 김종서 장군의 눈에 띈 강채윤은 장군의 추천으로 궁궐의 겸사복이 된다. 그리고 어느날 집현전 학사가 경복궁 후원의 열상진원 우물에 빠져죽으면서 그 의문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하지만 이후로도 학사들의 죽음은 계속된다. 끈질기게 뒤를 캐던 채윤은 그것의 연원에 '고군통서(억울하게 죽은 세종의 장인인 심온에 대한 애도와 조선이 자주적으로 일어서야  함을 울분으로 토한 이도의 글)'라는 책이 있음을, 또한 연쇄살인은 오행 상극(水克火-火克金-金克木-木克土-土克水, 첫번째 피살자 장성수는 우물에 빠져죽음)의 순서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아낸다. 

 

세종의 경세치용, 격물치지 추구를 잡학으로 치부하던 경학파(주자가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하여 이기론의 체계를 세움, 그래서 오행 상극에 따라 잡학을 추구하는 학자들을 처단한 것임) 학자 대제학 최만리와 최만리를 통해 권력을 꿈꾸는 직제학 심종수에게 분노의 불을 지핀 것은 한글 창제였다. 표면적으로 경학은 명과 조선을 이어주는 매개체였으며 그것의 절단은 국가의 존폐와 직결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한자 독식 기반의 기득권(사대부, 성균관, 서원, 명과의 교역으로 부를 축적한 상인 등등)이 한글의 영향으로 그들의 관직과 부를 나누거나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은 극도의 불안과 초조을 불러왔기 때문이었다.

 

한자만이 통용되던 시대에 한자는 사물 하나에 한자 하나가 대응되는 상형이었고, 그것의 짜임이었다. 따라서 무엇을 표현하는 데에는 많은 글자가 필요했고, 그것을 익히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단지 자음과 모음 28자만으로 모든 말과 사물을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떻겠는가? 그것은 기적이었다. 

그러나 한글이 일상화된 현재 우리는 한글의 우수성을 더이상 새삼스러워 하지 않는다. 한자와 영어가 홍수처럼 밀려들어 한글의 빈속(의미)를 채우기에 바쁜 시절이기 때문이다. 그렇다. 한글의 진정은 처음부터 높은 곳을 향하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한자를 안고 태어난 한글은 새로이 의미를 창조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한글의 확산, 저변화를 통한 백성과의 소통, 경세치용, 이용후생에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