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리스트, 마음을 해킹하다
김덕성 지음 / 조이럭북스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새로운 사물과 관념에 대한 우리의 접근은 어떤 식으로 시작되는 것인가?  그리하여 궁금증과 호기심은 왜 마천루처럼 높게 쌓이는가?

어느날, 한 연예인의 학력논란을 마주하면서 고구마나 더덕을 캐내던 자의 얼굴을 일그러뜨리는 심각한 상황를 연상해냈다.  교묘한 언론플레이로 이미 그의 학력인증은 마치 캐내다 뿔어진 고구마나 더덕 같았다. 잔여의 크기를 짐작할 수 없기에 그것에 대한 수고를 하느냐 아끼느냐의 갈등은 밭이랑의 길이에 비례하여 짧아질 것이며, 방치에 더 무게중심이 실릴 것이었다. 깊숙히 박힌 잔여 덩이를 캐내기 위해서는 현재 파놓은 구덩이의 두배 이상으로 그 폭을 진전시켜야 했지만, 곁눈질 하지 못하는 일꾼은 파놓은 흙더미를 삐대며 지나가는 것 같았고, 밭이랑의 길이가 얼마인데 쪼잔한 생각을 품느냐고 고래고래 소리치는 듯했다. 잔여가 땅 속 깊숙이 틀여박혀 흰 속살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에 대한 방치의 여부는 잔여분의 크기의 미지만큼인 것이었고, 그것의 전체를 파내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는 경험에 물려있다 보니 그것을 크기를 과도하게 측정한 개인의 호기심이 이 책과의 인연으로 발전된 사소한 이유라면 이유일 것이다. 
 

수적천석水滴穿石이라면 능히 장신구를 삼을만한 구멍을 연출해내겠지만, 그 오랜 시간동안을 우리의 삶이 허락해줄지는 비관적이므로, 그 연예인에게 분명한 거짓을 노출할 시간을 내어줄만한 여유가 없다.
결국 직관적인 지각을 응용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쏠렸다. 몇 년간이었지만, 텔레비젼을 통해, 뉴스를 통해 그를 만나면서 왜 우리는 그의 언변과 행동에서 중요한 시그널을 뽑아올리고, 그것에 대한 허위를 벗겨내지 못했을까?  저자가 운영자로 있는 까페에 그 누군가가 올린 바로 그 연예인의 표정과 손동작에 주목한 사진과 해석이 내게 던진 미끼였고, 그것을 덥썩 물었던 사람은 뜻하지 않게 물 위의 허공과 하늘과 육지의 단단함을 느껴볼 기회를 가졌다. 하지만 이 책의 능동적 욕구는 단순한 차이의 발견과 인지에 있지 않고 인간의 신경에 대해 언어를 부여하고 대화와 행동을 통한 조절이나 제어를 목적하고 있었다.

멘탈리스트(MENTALIST)란  정신적인 예리함, 최면 제안을 이용하는 사람, 남의 생각과 행동을 능히 조정하는 사람이라 한다. 특히 이 책은 미드 멘탈리스트의 분석을 통해 그것을 현실화하는 연구가 선진국에서는 진행중이며, 드라마상의 극적요소를 배제시키더라도 앞으로 신경언어(NEURO LINGUISTIC HACKING)연구분야로서 의미있는 자리매김을 할 것이라 역설한다. 또한 이를 통한 광고, 선전, 통제, 조절 등이 이미 우리사회 깊숙히 침투해 있으며, 이를 간파하고 이에 이용당하지 않는 것도 신경언어를 이해하고 공부하는 목적 중에 하나임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산식처럼 반드시 어떠한 조건을 주면 어떠한 행위를 유발한다는 식의 정립은 확언하기 어렵다. 이는 많은 계발서나 심리서적이 갖는 특징이며, 어떤 식의 조절이나 통제가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수 많은 모르모트(인간)가 필요한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업은 정신과 의사, 심리상담사, 프로파일러 같은 종류에 특정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옷을 입지 못했던 심리파악이나 인지 및 대화들이 턱시도를 입고 나왔을 때 보여지는 천양지차는 마치 옴므 같은 프로그램에 스타일 쇄신을 신청한 시청자가 보여주는 BEFORE/AFTER 같은 느낌을 준다.

다만, 『최면은 반드시 침상에서 이루워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마인드에 기초하고 있는 이 책은 상대 주변의 사물을 통해서, 상대 심리에 동감함으로서, 신체접촉이나 강한 주시를 통해, 상대의 심리에 잠입하는 방법(대화) 등이 있음을 친절히 설명한다.
특히 최면의 진실에 관한 부분이나 자유의지에 관한 환상이나 착오는 이 책의 수렴과 확장성을 외연外延한다. 

1960년대 만성 두통에 시달려오던 앨리스란 여성은 심리상담을 받던 중 최면치료를 행하게 된다. 그런데, 최면술사와 그 여성은 그녀가 겪은 놀라운 사실을 알아내고, 그녀의 아버지를 어린이성폭행범으로 경찰에 고소한다. 하지만 아버지는 3심에서 무죄로 석방된다. 그녀의 아버지를 변론했던 변호사가 그녀가 겪었다고 했던 이야기들이 실린 과거의 신문을 발견했기 때문이었다. 어린시절 그녀는 그 신문을 읽고서 그것을 정신적인 충격을 내적으로 감수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자신과 혼동하며 그것을 두통으로 표출하고 살았던 것이었다. 물론 최면을 통해 고통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에 접근해볼 수 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p.161~p.162)
 

생물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프란츠 M. 부케티츠는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다는 환상이 인류 문명에 많은 긍정적 결과를 가져다준 하나의 모델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일본의 뇌과학자 이케가야 유우지는 운동지령 반응이 선행하고 나서 의사결정의 반응이 후행한다고 한다. 즉 자신의 의지로 행했다고 자위할 뿐인지 이미 신경계에서 자동반응으로 그것을 처리한 것이라고 한다.(p.208 ~p.209, 『자유의지, 그 환상의 진화』- 열음사,2009 , 『교양으로 읽는 뇌과학』- 은행나무, 2005)
 

 아쉽게도 미드『멘탈리스트』를 보지 않은 자들에게는 이 책의 매력은 반감된다. 이 책은 미드 『멘탈리스트』의 주석에 가깝기 때문이다.
신경언어해킹의 입문서 내지 소개서에 가까운 이 책을 넘어 실습서가 나온다고 하니 저자의 새로운 연구가 담긴 신간을 학수고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